반응형

전체 글 745

이탈리아 역사 49. 17세기 페스트와 스페인 쇠퇴, 사보이 공국의 부상 - 토리노 공국의 성장과 발도파 교도 탄압

17세기는 이탈리아에게 시련과 변화의 세기였다. 1630년대와 1650년대에 연이어 발생한 대페스트는 인구의 3분의 1 이상을 앗아가며 사회 전반에 충격을 주었다. 동시에 30년 전쟁과 스페인 왕위계승전쟁을 거치면서 스페인의 패권이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권력 공백 속에서 알프스 서쪽의 작은 사보이 공국이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토리노를 수도로 한 사보이 가문은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사이에서 균형 외교를 펼치며 세력을 확장했지만, 동시에 영토 내 개신교도인 발도파에 대한 혹독한 탄압을 자행하기도 했다.1630년 대페스트의 참상과 사회적 충격1630년 북부 이탈리아를 강타한 페스트는 '만초니의 페스트'로도 불린다. 알레산드로 만초니가 소설 '약혼자들'에서 생생하게 묘사한 이 전염병은 독일..

History/Europe 2025.06.03

이탈리아 역사 48. 필리프 2세 치하의 스페인 패권과 이탈리아 지배 체제 - 남부 경제 의존과 밀라노·나폴리 총독 통치의 확립

16세기 후반, 이탈리아는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조의 강력한 지배 하에 놓였다. 필리프 2세(재위 1556-1598)가 아버지 카를 5세로부터 물려받은 스페인 제국은 유럽 최강의 세력이었고, 이탈리아는 그 제국의 핵심 구성 요소였다. 레판토 해전의 승리로 지중해 패권을 확고히 한 스페인은 밀라노 공국과 나폴리 왕국을 직접 통치하며 이탈리아 전체를 자신의 영향권 안에 두었다. 하지만 이러한 스페인 지배는 이탈리아 경제와 사회에 깊은 구조적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남부 지역의 경제적 의존성을 심화시켰다.카를 5세의 유산 분할과 필리프 2세의 즉위1556년 카를 5세의 퇴위는 유럽 정치 지형을 크게 바꾸었다. 그는 자신의 거대한 제국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동생 페르디난트에게는 신성로마제국과 오스트리아를, 아들 ..

History/Europe 2025.06.03

이탈리아 역사 47. 트리엔트 공의회와 반종교개혁의 전개 - 예수회의 창설과 성 바르톨로메오 양식의 등장

1527년 로마 약탈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가톨릭 교회는 생존을 위한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해야 했다. 루터의 종교개혁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가톨릭 세계는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집된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는 가톨릭 교회의 교리를 재정립하고 내부 개혁을 단행한 역사적 전환점이었다. 동시에 이냐시오 데 로욜라가 창설한 예수회는 새로운 선교 전략과 교육 체계로 반종교개혁의 첨병 역할을 담당했다.트리엔트 공의회 소집의 배경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이 확산되면서 가톨릭 교회는 교리적 혼란과 권위 실추라는 이중고에 시달렸다. 루터의 95개조 반박문(1517) 이후 30년 가까이 지나는 동안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스칸디나비아 등 유럽 북부 지역이 대거 프로테스탄트로 전..

History/Europe 2025.06.03

이탈리아 역사 46. 1527년 로마 약탈과 르네상스 문명의 몰락 - 스페인 용병대의 만행과 '만인의 재난'

1527년 5월 6일, 로마는 역사상 가장 참혹한 약탈을 당했다. 카를 5세의 제국군이 로마를 점령하면서 벌어진 이 사건은 단순한 군사적 승리를 넘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명 전체에 치명타를 가했다. 화려했던 르네상스의 황금시대가 막을 내리고, 이탈리아는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었다.로마 약탈의 배경과 원인이탈리아 전쟁이 30년 넘게 지속되면서 반합스부르크 동맹인 코냑 동맹이 결성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7세(메디치 가문 출신)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 베네치아 공화국, 밀라노 공국, 피렌체 공화국과 함께 카를 5세에 맞서는 연합을 구축했다. 이는 합스부르크 가문이 이탈리아 전체를 지배하는 것을 막기 위한 마지막 저항이었다.하지만 카를 5세의 제국군은 막강한 전력을 자랑했다. 독일의..

History/Europe 2025.06.03

이탈리아 역사 45.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르네상스 정치사상의 혁명적 전환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 1469-1527)는 이탈리아 전쟁의 혼란 속에서 정치에 대한 전혀 새로운 사고방식을 제시한 사상가였다. 1513년 집필된 그의 대표작 『군주론(Il Principe)』은 중세적 정치 이론을 뒤엎고 근대 정치학의 토대를 마련한 혁명적 저작이었다. 마키아벨리는 이상적 정치론 대신 현실 정치의 냉혹한 논리를 분석했고, 도덕과 정치를 분리하는 파격적 주장을 펼쳤다. 동시에 그는 공화주의자로서 『로마사 논고』를 통해 시민적 덕성과 자유의 가치도 강조했다. 이탈리아의 정치적 분열과 외침을 목격한 그의 사상은 단순한 이론을 넘어서 절박한 현실 인식에서 나온 치열한 고민의 산물이었다.피렌체 공화국의 서기관, 정치 현실을 목격하다마키아벨리의 사상 형성에 결정적 영..

History/Europe 2025.06.02

이탈리아 역사 44. 1494년 이탈리아 전쟁의 시작과 화승총 도입이 가져온 군사 혁명

1494년 프랑스 왕 샤를 8세의 이탈리아 침입은 이탈리아 반도 역사의 전환점이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영토 분쟁을 넘어서 중세에서 근세로의 군사적, 정치적 변화를 상징하는 출발점이 되었다. 프랑스군이 가져온 새로운 화기술, 특히 화승총과 개량된 대포는 기존의 전쟁 양상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이탈리아의 도시국가들이 40년간 유지해온 섬세한 세력 균형은 하루아침에 무너졌고, 이후 60여 년간 계속된 이탈리아 전쟁은 유럽 전체의 정치 지도를 다시 그렸다. 이 과정에서 르네상스 이탈리아의 황금시대는 종말을 고하고, 새로운 군사 기술과 국제 정치의 시대가 시작되었다.평화의 종료, 로디 체제의 붕괴1454년 로디 평화조약으로 확립된 이탈리아의 세력 균형은 40년간 상대적 안정을 가져다주었다. 밀라노 공국, 베네치..

History/Europe 2025.06.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