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근대철학 23. 헤겔(III) – 절대정신, 역사철학, 국가론

1. 헤겔 체계 철학의 구조1.1 논리학, 자연철학, 정신철학헤겔은 자신의 철학 체계를 『엔치클로페디(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에서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한다:논리학(Logik): 헤겔의 논리학은 전통적인 형식 논리학과 다르다. 그것은 사고 형식뿐만 아니라 존재의 근본 범주들을 탐구한다. 논리학은 '존재론(Sein)', '본질론(Wesen)', '개념론(Begriff)'으로 구성되며, 가장 추상적인 범주에서 시작하여 점차 구체적인 개념들로 발전한다.자연철학(Naturphilosophie): 논리학에서 전개된 이념(Idee)이 자신의 외재화(Entäußerung)로서 자연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설명한다. 자연의 다양한 층위—역학, 물리학, 유기..

Philosophy 2025.04.04

근대철학 22. 독일 관념론(II) – 헤겔(I)

독일 관념론 철학은 칸트에서 시작하여 피히테와 셸링을 거쳐 마침내 헤겔에게서 그 정점을 이룬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은 근대철학을 집대성한 철학자로, 그의 방대한 사상 체계는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유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 헤겔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1.1 생애와 교육헤겔은 1770년 8월 27일 독일 슈투트가르트(Stuttgart)에서 중산층 관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뛰어난 학업 능력을 보인 그는 1788년부터 1793년까지 튀빙겐(Tübingen) 신학교에서 수학했다. 여기서 그는 후에 유명한 철학자가 된 셸링 및 낭만주의 시인 횔덜린(Hölderlin)과 친분을 맺었다. 이 세 친구는..

Philosophy 2025.04.04

근대철학 21. 독일 관념론(I) - 피히테와 셸링

칸트의 비판철학은 근대철학에 혁명적인 전환점을 가져왔다. 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으로 인간 인식의 구조와 한계에 대한 깊은 통찰이 가능해졌지만, 동시에 많은 철학적 과제와 난제를 남기기도 했다. 특히 '현상계'와 '물자체'의 구분은 새로운 문제를 던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서 독일 관념론이 태동했다. 1. 독일 관념론의 등장 배경칸트 철학은 경험론과 합리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종합하려는 위대한 시도였다. 그러나 그의 체계에는 몇 가지 핵심적인 난제가 있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물자체(Ding an sich)'와 '현상' 사이의 분리였다. 칸트에 따르면 우리는 사물 자체를 직접 인식할 수 없고, 오직 우리의 인식 틀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구분은 인식론적으로는 이..

Philosophy 2025.04.04

근대철학 20. 칸트(IV) - 판단력비판과 미학·목적론

1. 판단력비판의 위치와 의의「판단력비판」은 칸트의 세 가지 비판서 중 마지막으로, 그의 철학 체계를 완성하는 중요한 저작이다. 칸트는 이전의 두 비판서에서 다음과 같은 두 세계의 간극을 남겨두었다:자연의 세계: 「순수이성비판」에서 다룬 이론적 인식의 영역. 인과법칙이 지배하는 필연성의 세계.자유의 세계: 「실천이성비판」에서 다룬 도덕의 영역. 도덕법칙이 지배하는 자유의 세계.이 두 세계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것이 바로 「판단력비판」의 주요 목표이다. 칸트는 이 저작을 통해 자연과 자유, 필연성과 목적성, 이론과 실천 사이의 매개를 시도한다.판단력(Urteilskraft)의 개념칸트는 판단력을 "특수한 것을 보편적인 것 아래에 포섭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그는 판단력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규정적 판단력..

Philosophy 2025.04.04

근대철학 19. 칸트(III) - 실천이성과 도덕철학

1. 이론이성에서 실천이성으로칸트의 철학적 여정은 인간 이성의 두 가지 주요 관심사를 포괄한다.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려 했다면, 「실천이성비판」에서는 "나는 무엇을 행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집중한다.이 두 질문은 각각 이론이성(theoretical reason)과 실천이성(practical reason)의 영역에 해당한다:이론이성: 세계가 어떠한지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실천이성: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능력칸트는 이 두 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구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그는 도덕철학이 이론철학(인식론, 형이상학)에 종속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도덕은 그 자체로 독립적인 근거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순수이성비..

Philosophy 2025.04.04

근대철학 18. 칸트(II) - 인식론과 이론이성비판

1. 인식의 두 줄기: 감성과 오성칸트의 인식론은 인간 인식의 두 근본 능력인 감성(Sinnlichkeit)과 오성(Verstand)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순수이성비판」의 유명한 구절에서 칸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내용 없는 사유는 공허하고,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Gedanken ohne Inhalt sind leer, Anschauungen ohne Begriffe sind blind.)이 문장은 칸트 인식론의 핵심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인식은 감성을 통한 직관(Anschauung)과 오성을 통한 개념(Begriff)이 결합될 때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두 능력은 서로 독립적이지만, 동시에 상호 의존적이다.감성: 대상에 의해 촉발되어 표상을 받아들이는 수용적 능력. 직관을 제공..

Philosophy 2025.04.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