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현대철학 16. 해석학(Hermeneutics) – 가다머와 리쾨르

현대 해석학의 등장 배경해석학(Hermeneutics)은 원래 성서와 법률 텍스트의 해석 원칙을 다루는 방법론에서 출발했으나, 19세기와 20세기를 거치며 인간 이해의 본질적 구조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철학적 흐름으로 발전한다. 현대 해석학의 발전은 슐라이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와 딜타이(Wilhelm Dilthey)의 작업에서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 슐라이어마허는 해석학을 특정 텍스트가 아닌 '이해' 자체의 일반 이론으로 확장했으며, 딜타이는 해석학을 인문학(정신과학)의 방법론적 기초로 발전시켰다.20세기에 들어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해석학을 존재론적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그에게 이해와 해석은 단순한 인식 방법이 아니라 인간 존재(Dasein)의 근본 방식이었다. ..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15. 메를로-퐁티, 보부아르와 확장된 실존

확장된 실존의 지평실존주의가 사르트르에 의해 체계화되고 대중화된 이후, 그의 철학적 동료들은 실존주의의 기본 통찰을 유지하면서도 그 지평을 확장하고 심화시켰다. 그중에서도 모리스 메를로-퐁티와 시몬 드 보부아르는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메를로-퐁티는 몸과 지각의 차원을 강조함으로써 사르트르의 의식 중심적인 실존 이해를 넘어섰고, 보부아르는 실존의 성적 차이와 여성의 상황에 주목함으로써 실존주의에 페미니즘적 차원을 더했다. 이들의 작업은 실존주의를 단순한 주관적 의식의 철학이 아닌, 몸과 성, 역사와 사회가 교차하는 복합적인 장으로 확장시켰다.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보부아르 모두 프랑스 엘리트 교육기관인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 출신으로, 지적 동료이자 친구였다. 그들은 함께 『현대(Les Temps ..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14. 사르트르와 실존주의

실존주의의 등장 배경20세기 전반 유럽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파시즘의 대두, 대공황 등 전례 없는 위기와 파국을 경험한다. 이러한, 역사적 혼란은 인간 이성과 진보에 대한 근대적 신념을 심각하게 동요시킨다. 합리성과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류를 구원할 것이라는 믿음은 전쟁의 참화 속에서 무너졌고, 인간 존재의 불안정성과 부조리함이 강하게 인식된다. 바로 이런 배경에서 실존주의는 추상적 체계나 보편적 본질보다 개별적 인간의 구체적 실존에 주목하는 철학적·문학적 흐름으로 발전한다.실존주의는 단일한 철학적 학파라기보다는 다양한 사상가들이 공유하는 문제의식과 주제를 중심으로 형성된 느슨한 사상적 조류이다. 키에르케고르, 니체, 하이데거 등의 영향을 받은 실존주의는 특히 2차 세계대전 전후 프랑스에서 장-폴 사르트..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13. 하이데거(II) – 기술 비판, 언어철학, 후기 사상

하이데거 사상의 전환: '전회(Kehre)'하이데거 철학은 흔히 초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그 전환점을 '전회(Kehre)'라고 부른다. 『존재와 시간』(1927) 이후 1930년대부터 하이데거의 사유는 점차 다른 방향으로 전개된다. 초기 하이데거가 현존재(Dasein) 분석을 통해 존재 의미에 접근했다면, 후기 하이데거는 존재 자체의 역사적 드러남과 은폐에 더 주목한다. 이 전환은 단순한 주제의 변화가 아니라, 사유 방식 자체의 근본적 변화를 의미한다.후기 하이데거는 존재를 인간 주체의 이해 지평 안에서 파악하려는 시도에서 벗어나, 존재 자체가 역사적으로 스스로를 드러내고 은폐하는 '사건(Ereignis)'으로 사유한다. 이제 중심은 인간의 존재 이해에서 존재 자체의 '밝힘(Lichtung)'으로 옮겨간..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12. 하이데거(I) – 『존재와 시간』

하이데거의 철학적 여정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1889-1976)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현상학에서 출발해 독자적인 존재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독일 메스키르히의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나 신학을 공부하다가 철학으로 전향했다.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에드문트 후설의 제자가 되어 현상학을 배웠고, 이후 현상학적 방법론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변형시켜 존재 물음을 다루는 데 적용했다. 하이데거는 1927년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을 발표하면서 철학계에 충격적인 반향을 일으켰다.하이데거의 사상은 초기와 후기로 구분되는데, 『존재와 시간』은 그의 초기 사상을 대표하는 저작이다. 이 책에서 그는 서양 철학사에서 오랫동안 잊혀왔다고 주장하는 '존재 물음'을..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11. 후설(II) – 『이데엔』과 현상학적 방법

이데엔과 순수 현상학에드문트 후설의 『이데엔(Ideen zu einer reinen Phänomenologie)』은 현상학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 저작이다. 1913년에 발표된 이 책에서 후설은 이전 저작인 『논리연구』에서 발전시킨 개념들을 체계화하고 순수 현상학의 방법론을 확립한다. 『이데엔』에서 후설은 현상학을 단순한 심리학적 분석이 아닌 초월론적 철학으로 발전시키려 노력한다.순수 현상학은 의식에 직접 주어진 현상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려는 철학적 접근이다. 후설은 모든 선입견과 자연적 태도를 배제하고 의식 경험 자체를 탐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와 유사한 면이 있으나, 더 철저하게 의식의 본질 구조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에포케(판단 중지)의 의미후설 현상..

Philosophy 2025.04.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