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근대철학 5. 데카르트(II) –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

지난 시간에 살펴본 데카르트의 방법론적 회의와 코기토 명제에 이어, 이번에는 그의 형이상학 체계의 핵심인 정신(res cogitans)과 물질(res extensa)의 이원론을 중심으로 데카르트 철학의 주요 내용을 더 깊이 탐구한다. 데카르트의 이원론은 그의 자연철학과 인간관의 기초가 되었으며, 근대 서양 사상의 틀을 형성한 중요한 사상이다.데카르트의 실체 이원론두 가지 실체: 정신과 물질데카르트는 『성찰』과 『철학의 원리』에서 두 종류의 실체(substantia)를 구분한다: 사유하는 실체인 정신(res cogitans)과 연장을 가진 실체인 물질(res extensa)이다. 그에 따르면 이 두 실체는 본질적으로 다른 속성을 가지며,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사유하는 실체(res cogitans..

Philosophy 2025.04.03

근대철학 4. 근대 합리론의 탄생 – 데카르트(I)

르네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1650)는 근대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인물로, 그의 사상은 서양 철학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다. 데카르트는 중세의 스콜라철학에서 벗어나 새로운 철학적 방법론을 정립했으며, 이성의 힘을 통해 확실한 지식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의 철학은 이후 스피노자, 라이프니츠로 이어지는 대륙 합리론의 기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반대하는 영국 경험론의 발전을 자극하기도 했다. 이번 시간에는 데카르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그리고 그의 주요 저작에 나타난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의식을 살펴본다.데카르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17세기 유럽의 지적 환경데카르트가 활동했던 17세기 초반은 유럽의 지적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던 시기였다.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고전 문헌의..

Philosophy 2025.04.03

근대철학 3. 근대 초기 사상의 선구자 프랜시스 베이컨

근대철학의 여명기에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561-1626)을 꼽을 수 있다.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가, 법률가였던 베이컨은 자연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경험적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근대 과학과 경험론 철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베이컨은 스스로를 '새로운 학문의 나팔수'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가 지식 탐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선구자로서의 역할을 자처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시간에는 베이컨의 귀납적 방법론과 그가 근대철학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베이컨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엘리자베스 시대의 지식인프랜시스 베이컨은 1561년 영국의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니콜라스 베이컨은 엘리자베스 1세의 국새상서(Lor..

Philosophy 2025.04.03

근대철학 2. 르네상스와 과학혁명의 영향

근대철학의 형성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르네상스와 과학혁명이라는 두 거대한 지적 운동이 어떻게 사상의 지형을 바꾸어 놓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이 두 흐름은 중세의 신중심적 세계관에서 인간중심적 세계관으로의 대전환을 가져왔고, 오늘날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의 근간을 마련했다. 이번 시간에는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과학혁명이 근대철학 형성에 미친 구체적인 영향을 살펴본다.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등장과 발전르네상스는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 약 300년간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적, 지적 부흥 운동이다. '르네상스(Renaissance)'라는 말 자체가 '재생' 또는 '부활'을 의미하듯, 이 시기에는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와 사상이 재발견되고 새롭게 해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르네상스 인문주의(Hu..

Philosophy 2025.04.03

근대철학 1. 근대철학의 시대적 배경

철학의 역사에서 근대철학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중세의 신학적 사유에서 벗어나 인간 이성의 힘을 재발견한 시기이자,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 사회의 지적 토대를 마련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근대철학을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과거 사상가들의 이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의 뿌리를 탐구하는 여정이기도 하다.근대철학의 배경이 된 세 가지 역사적 흐름근대철학의 시작은 세 가지 중요한 역사적 흐름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로 르네상스, 종교개혁, 그리고 과학혁명이다. 이 세 흐름은 서로 다른 영역에서 일어났지만, 함께 중세적 세계관을 해체하고 근대적 사유의 바탕을 형성했다.르네상스: 인간성의 재발견14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퍼진 르네상스는 '재..

Philosophy 2025.04.03

스콜라 철학 15. 스콜라 철학의 현대적 의의와 평가

중세의 대학 강단과 수도원에서 시작된 스콜라 철학은 시간의 강을 건너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있는 사상적 전통으로 남아있다. 지금까지 우리는 스콜라 철학의 배경과 형성, 주요 사상가들의 이론, 그리고 그 발전과 쇠퇴의 역사를 탐색해왔다. 이제 마지막 강의에서는 스콜라 철학의 현대적 의의와 가치를 종합적으로 평가해보려 한다. 20세기 이후 신토마스주의(Neo-Thomism), 분석 신학(Analytic Theology) 등에서 스콜라 전통이 어떻게 재조명되고 있는지, 그리고 스콜라 철학의 지적 유산이 오늘날의 철학, 신학, 윤리학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20세기 신토마스주의의 부흥레오 13세의 '영원하신 아버지(Aeterni Patris)'와 제도적 부활스콜라 철학, 특히 토마스 아퀴..

Philosophy 2025.04.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