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현대철학 4. 니체 – 신의 죽음과 허무주의

서구 가치의 해머를 든 철학자19세기 후반, 유럽 문명의 틈새에서 한 철학자가 모든 전통적 가치관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장을 내밀었다.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는 기독교 도덕, 형이상학적 진리, 그리고 서구 철학의 핵심 전제들을 해체하며 현대철학의, 아니 현대성 자체의 문을 활짝 열었다. "철학을 망치로 하라"고 외친 그는 전통적인 서구 가치체계의 근간을 뒤흔들며 '신의 죽음' 이후의 세계를 직시하고자 했다.니체는 오늘날 가장 널리 읽히는 철학자 중 하나다. 그의 글은 선언적이고 시적이며 때로는 현학적 수수께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이런 문체는 체계적인 철학 저작보다는 독자의 사고를 자극하고 뒤흔드는 역할을 한다. 그가 남긴 아포리즘과 단상들은 150년이 지..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3. 쇼펜하우어와 의지철학

근대 낙관주의의 이면을 들여다보다근대 철학의 주류가 이성과 합리성의 승리를 예찬하던 시대에, 어둠의 철학자라 불린 한 인물이 등장한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는 헤겔로 대표되는 관념론적 낙관주의를 거부하고, 인간 실존의 어두운 측면과 고통의 본질을 직시하는 새로운 사유를 전개했다. 그는 인간 삶의 깊은 진실은 이성적 개념이 아닌 '의지(Will)'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함으로써, 현대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삶의 궤적과 사상의 토대1788년 독일 단치히(현재의 폴란드 그단스크)에서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난 쇼펜하우어는 어린 시절부터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다양한 문화를 접했다. 특히 영국과 프랑스에서의 경험은 그의 국제적 시야를 넓혔고, 영어와 프랑..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2. 키에르케고르와 실존의 문제

근대 합리주의에 대한 첫 번째 반란19세기 중반, 덴마크의 한 외로운 사상가가 당대 철학계를 지배하던 헤겔의 체계철학에 정면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의 이름은 쇠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1813-1855). 짧은 생애 동안 그는 철학사의 흐름을 바꿀 만한 혁명적 사유를 펼쳤고, 후대에 '실존주의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얻게 된다.키에르케고르의 사상이 갖는 혁명성은 무엇보다 그가 철학의 중심을 '객관적 진리'에서 '주관적 진리'로, '보편적 체계'에서 '개별적 실존'으로 옮겨놓았다는 점에 있다. 이는 데카르트 이래 근대철학이 추구해온 방향성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였다.키에르케고르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키에르케고르는 1813년 코펜하겐에서 엄격한 루터교 신앙을 가진 부유한 상인의 아..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1. 현대철학의 시작과 19세기 배경

전환의 시대, 새로운 사유의 필요성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의 시기 중 하나였다. 산업혁명이 절정에 달했고, 과학기술은 전례 없는 속도로 발전했으며, 사회 구조는 근본적으로 재편되었다. 이런 격변의 시대에 철학은 어떻게 반응했을까? 바로 이 질문에서 현대철학의 여정이 시작된다.실증주의의 등장과 영향19세기 중후반, 오귀스트 콩트를 필두로 한 실증주의는 "확실한 지식은 오직 경험적으로 검증 가능한 것에서만 온다"라는 주장을 내세웠다. 이는 형이상학적 사변이나 추상적 관념론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이었다. 실증주의자들은 과학적 방법론만이 진정한 지식을 가져올 수 있다고 확신했고, 이러한 관점은 당시 급속도로 발전하는 자연과학의 성과들로 인해 더욱 설득력을 얻었다.특히 다윈의..

Philosophy 2025.04.05

근대철학 25. 근대철학 종합과 이후의 흐름

지금까지 우리는 데카르트에서 시작하여 헤겔, 쇼펜하우어와 낭만주의에 이르기까지 근대철학의 다양한 흐름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시간에는 이러한 근대철학의 전체 여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후 현대철학으로 이어지는 주요 흐름들을 간략히 조망한다. 이를 통해 근대철학이 어떻게 우리 시대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연결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1. 근대철학의 주요 문제의식과 전개 과정1.1 근대철학의 시작과 핵심 문제근대철학은 16-17세기 유럽에서 중세 스콜라 철학의 권위가 무너지고,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과학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새로운 철학적 패러다임이 요구되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 철학의 핵심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확실한 지식의 토대 탐색: 중세의 신학적 권위가 흔들리면서, 근대 철학자들은 모든..

Philosophy 2025.04.04

근대철학 24. 근대철학의 확장 – 쇼펜하우어와 낭만주의

19세기 초중반, 독일 관념론 철학과 헤겔의 이성 중심적 체계가 절정에 이른 때, 그에 대한 반발로서 새로운 철학적 사조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특히 쇼펜하우어의 의지 철학과 낭만주의 사상은 이성과 개념의 역할을 절대시했던 헤겔 철학에 대한 강력한 반동이자 대안적 사유의 시작점이었다. 이번 시간에는 헤겔 이후 철학의 새로운 흐름으로서 쇼펜하우어의 비관주의적 의지 형이상학과 낭만주의 철학의 특징을 살펴본다.1. 헤겔 체계에 대한 반발과 새로운 흐름1.1 헤겔 체계의 한계헤겔의 방대한 철학 체계는 근대 서양 철학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의 체계가 지닌 몇 가지 한계와 문제점이 지적되기 시작했다:지나친 이성 중심주의: 헤겔의 체계는 이성의 힘을 절대시하며, 세계의 모든 현상을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

Philosophy 2025.04.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