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현대철학 10. 현상학의 탄생 – 브렌타노와 후설(I)

의식으로 돌아가는 철학적 전환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유럽 철학은 자연과학의 객관주의와 심리학주의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던 시기였다. 이 지적 풍토 속에서 태동한 현상학(Phenomenology)은 이후 20세기 철학의 주요 흐름 중 하나로 자리 잡는다. 현상학은 인간 의식의 구조와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적 방법론으로, '현상 그 자체로 돌아가라(Zurück zu den Sachen selbst)'는 구호 아래 우리의 직접적 경험을 철학의 출발점으로 삼는다.현상학의 태동에는 두 명의 주요 인물이 있다. 프란츠 브렌타노(Franz Brentano, 1838-1917)는 '지향성(intentionality)' 개념을 재발견하고 심리학적 접근법의 기초를 놓았으며,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9. 비트겐슈타인(II) –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

사상의 전환: 초기에서 후기 비트겐슈타인으로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은 20세기 철학에서 가장 독특하고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다. 그의 철학적 여정은 흔치 않은 반전을 담고 있다. 초기의 주요 저작인 『논리철학 논고(Tractatus Logico-Philosophicus)』에서 세계와 언어의 그림 이론을 제시했던 비트겐슈타인은 케임브리지로 돌아온 1929년 이후 자신의 이전 관점에 대해 근본적인 재고를 시작한다. 이 사상적 전환의 결과물이 바로 그의 사후에 출간된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vestigations)』(1953)다.『철학적 탐구』는 『논고』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번호가 매겨진 간결한 명제들로 구성된 『논고』와 달리,..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8. 논리실증주의와 비엔나 학파

과학적 세계관의 등장20세기 초반, 비엔나의 지식인 사회에서는 이전 시대의 형이상학적 사변과 결별하고 과학적 방법론을 철학의 중심에 놓으려는 급진적인 지적 운동이 시작된다. 이른바 '비엔나 학파(Vienna Circle)'로 알려진 이 철학자들의 모임은 '논리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또는 '논리경험주의(Logical Empiricism)'라 불리는 철학 사조를 형성하며 현대 철학사에 깊은 족적을 남긴다.비엔나 학파는 1920년대 초 모리츠 슐리크(Moritz Schlick)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 모임에는 루돌프 카르납(Rudolf Carnap), 오토 노이라트(Otto Neurath), 한스 한(Hans Hahn), 필립 프랑크(Philipp Frank), 프리드리히 바이스만(..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7. 비트겐슈타인(I) – 『논리철학 논고(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침묵의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20세기 분석철학의 흐름을 이야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인물이 있다. 바로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이다. 오스트리아 빈의 부유한 산업가 가문에서 태어난 비트겐슈타인은 처음에는 공학을 공부했으나, 프레게의 저작을 접한 후 러셀의 지도 아래 케임브리지에서 철학을 공부하게 된다. 그의 첫 번째 주요 저작인 『논리철학 논고(Tractatus Logico-Philosophicus)』는 1921년에 출간되었으며, 20세기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상은 흔히 '초기'와 '후기'로 구분되는데, 이 글에서는 그의 초기 사상을 담은 『논고』를 중심으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살펴본다.『논고』의 구조와 방법론『논고』는 다소 독..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6. 분석철학의 태동 – 프레게, 러셀, 무어

논리와 언어로 철학하다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 서구 철학계에서는 큰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관념론이 지배하던 철학의 영역에 '분석철학'이라는 새로운 사조가 등장한 것이다. 이 새로운 흐름은 언어와 논리를 중심으로 철학적 문제에 접근하며,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러한 분석철학의 태동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세 명의 사상가,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란드 러셀, 그리고 G.E. 무어의 사상을 살펴본다.프레게: 현대 논리학의 아버지고틀로프 프레게(1848-1925)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현대 논리학의 아버지라 불린다. 그의 가장 큰 공헌은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을 뛰어넘는 새로운 논리체계를 구축한 것이다.프레게는 『개념 표기법(Beg..

Philosophy 2025.04.05

현대철학 5. 미국 실용주의(Pragmatism) – 피어스, 제임스, 듀이

철학의 새로운 대륙: 미국 실용주의의 탄생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유럽 철학의 비옥한 토양에서 자라난 관념론, 실존주의, 현상학 등의 사조들과는 별개로, 대서양 건너편 미국에서는 독특한 철학적 전통이 싹트고 있었다. '실용주의'(Pragmatism)라 불리는 이 철학적 운동은 미국이라는 신생국가의 개척정신, 실험적 태도, 그리고 민주주의적 이상을 반영하며 새로운 사유의 길을 개척했다.실용주의는 단순히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는 세속적 철학이 아니라, 지식, 진리, 의미, 가치에 대한 급진적으로 새로운 이해를 제시하는 철학적 혁명이었다. 그것은 추상적 이론보다 구체적 실천을, 확고한 원리보다 경험적 결과를, 절대적 진리보다 유용한 가설을 중시하는 접근법이다. 이러한 관점은 미국이라는 젊은 국가의 역동..

Philosophy 2025.04.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