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스콜라 철학 8: 토마스 아퀴나스의 윤리학과 자연법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 체계에서 윤리학은 단순히 부차적인 요소가 아니라 그의 형이상학과 신학의 자연스러운 연장선이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 스토아 학파의 자연법 사상, 그리고 기독교 윤리를 종합하여 독창적인 윤리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그의 자연법 이론은 서양 윤리학과 법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법학과 윤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준거점이 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아퀴나스의 윤리학적 기초와 자연법 이론, 그리고 그의 덕 윤리학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아퀴나스 윤리학의 형이상학적 기초아퀴나스의 윤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의 형이상학적 세계관을 이해해야 한다. 그의 윤리 이론은 존재(being)와 선(good)의 관계에 대한 형이상학적 통찰에 뿌리를 두고 있다.존재..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7: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 존재 증명과 인식론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 체계는 워낙 방대하여 한 번에 모두 살펴보기 어렵다. 지난 시간에 그의 생애와 주요 저작에 대해 개괄적으로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그의 철학 중에서도 핵심적인 두 영역—신 존재 증명과 인식론—에 초점을 맞추어 더 깊이 탐구해보려 한다. 그의 '5가지 길(Five Ways)'로 알려진 신 존재 증명은 단순히 신학적 주장을 넘어 그의 형이상학과 존재론의 핵심을 보여주며, 그의 인식론은 감각 경험과 추상 지식의 관계에 대한 독창적 관점을 제시한다. 아퀴나스의 이 두 이론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철학적 세계관의 근간을 이룬다.신 존재 증명의 배경과 의의신 존재 증명의 필요성토마스 아퀴나스는 『신학대전』 1부 2문 1항에서 먼저 신 존재 증명의 필요성에 대해 논한다. 그는 ..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6: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와 사상 개관

중세 스콜라 철학의 정점에 서 있는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다. 그는 스콜라 철학의 방법론을 완성하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기독교 신학의 통합을 이루어낸 위대한 사상가로 평가받는다. '천사적 박사(Doctor Angelicus)'라는 별명으로도 불리는 그는 중세를 넘어 현대까지 기독교 사상과 철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생애와 주요 저작, 그리고 그의 철학 사상의 큰 틀을 살펴보려 한다.시대적 배경: 13세기 유럽의 지적 르네상스토마스 아퀴나스가 활동했던 13세기는 중세 유럽의 '지적 르네상스' 시기였다. 여러 요인들이 이 시기의 지적 활력을 불러일으켰다:첫째, 대학의 성장이다. 12세기 말부터 13세기에 걸..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5: 피에르 아벨라르와 보편논쟁의 새로운 지평

12세기 초반, 유럽 지성계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활력으로 가득 차 있었다. 도시의 성장, 대학의 출현, 아랍 세계를 통한 고전 학문의 재발견 등 다양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논쟁적이고 혁신적인 한 철학자가 등장했다. 바로 피에르 아벨라르(Peter Abelard, 1079-1142)다. 그는 타고난 논쟁가로서 당대 최고의 지성들과 맞서며 스콜라 철학의 발전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 특히 그가 보편논쟁에 제시한 새로운 시각은 중세 철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오늘은 아벨라르의 삶과 사상, 그리고 그가 중세 철학에 남긴 지울 수 없는 족적을 탐구해보려 한다.논쟁적 삶: 아벨라르의 생애와 시대 배경아벨라르는 1079년 프랑스 남부 브르타뉴 지방의 팔레(Pallet)에서 기사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자였..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4: 안셀무스와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

중세 철학의 흐름에서 11세기는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다. 이 시기에 본격적인 스콜라 철학의 문이 열렸고, 그 문을 연 핵심 인물이 바로 안셀무스(Anselm of Canterbury, 1033-1109)다. 그는 '스콜라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신앙과 이성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특히 그의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Ontological Argument)'은 수백 년 동안 철학자들의 논쟁을 불러일으킨 혁신적인 사유 실험이었다. 오늘은 안셀무스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의 신 존재 증명이 지닌 철학적 의미와 영향력을 깊이 있게 탐구해보려 한다.안셀무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안셀무스는 1033년 이탈리아 북부 아오스타(Aosta)에서 귀족 가문의 자제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관심..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3: 보에티우스와 초기 중세 사유의 전환점

중세 철학의 발전 과정에서 고대와 중세를 연결하는 결정적인 다리 역할을 한 인물이 있다. 바로 보에티우스(Boethius, 480-524)다. 그는 서로마 제국의 몰락과 새로운 중세 세계의 형성이라는 격변기를 살았던 철학자로, 아우구스티누스와 본격적인 스콜라 철학 사이의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고전 학문의 전통을 중세에 전달하고,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을 제기함으로써 후대 스콜라 사상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오늘은 이 '마지막 로마인이자 첫 번째 스콜라 학자'라 불리는 보에티우스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가 스콜라 철학에 남긴 유산을 심도 있게 살펴보려 한다.격변기를 살다: 보에티우스의 생애보에티우스는 476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직후인 480년경, 로마의 명문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당시 ..

Philosophy 2025.04.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