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스콜라 철학 2: 아우구스티누스의 유산, 믿음에서 이해로 가는 길

중세 스콜라 철학의 깊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상적 토대를 마련한 핵심 인물들을 먼저 살펴봐야 한다. 그중에서도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 354-430)는 스콜라 철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교부 철학자다. 그는 고대 철학과 기독교 신앙 사이의 다리를 놓음으로써 후대 중세 사상가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했다. 오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이 스콜라 사상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깊이 있게 탐구해보려 한다.역사 속의 아우구스티누스북아프리카 타가스테(현재의 알제리)에서 태어난 아우구스티누스는 다채로운 지적 여정을 거쳐 기독교로 개종하기까지 다양한 사상을 접했다. 그의 삶은 그 자신이 저술한 『고백록(Confessions)』에 생생하게 기록되어 있다.젊은 시절 수사학 교사였던 그는 마니교, 회의주의..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1: 중세의 지성을 비추던 빛, 스콜라 철학의 배경과 형성

중세 유럽의 지적 풍경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스콜라 철학(Scholastic Philosophy)'이다. 오늘날 우리가 '암흑의 중세'라고 쉽게 단정 짓는 시대에, 실은 인간의 이성과 신앙이 조화롭게 공존하며 체계적인 지식 탐구가 이루어졌다. 그 중심에 스콜라 철학이 있었다. 이제부터 스콜라 철학의 역사적 배경과 형성 과정을 깊이 있게 살펴보려 한다.스콜라 철학이란 무엇인가?스콜라(Schola)는 라틴어로 '학교'를 의미한다. 스콜라 철학은 말 그대로 중세 유럽의 교회 학교와 대학에서 발전한 철학 체계를 가리킨다. 대략 11세기부터 14세기까지 약 300년간 서유럽 지성계를 지배했던 이 사상은 기독교 신앙과 고대 그리스 철학(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조화시키려는 노력의 산물이었..

Philosophy 2025.04.02

중세 교부철학 10. 교부철학의 의의와 스콜라철학으로의 이행

서론: 교부시대의 종결과 중세 스콜라철학의 시작교부시대는 일반적으로 동방에서는 8세기 요한 다마스쿠스(675-749)와 서방에서는 7세기 이시도루스(560-636)를 마지막 교부로 간주하며 종결된다. 이후 중세 철학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어 스콜라철학(Scholasticism)이라는 독특한 사상 체계를 발전시킨다. 이번 강의에서는 교부철학의 종합적 의의를 정리하고, 교부철학에서 스콜라철학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살핀다. 양자 사이의 연속성과 차별성, 그리고 스콜라철학의 초기 발전 과정을 중점적으로 탐구한다.교부철학의 종합적 의의고대 철학과 기독교 신앙의 창조적 종합교부철학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그리스-로마 고대 철학과 기독교 신앙의 창조적 종합에 있다. 교부들은 단순히 두 전통을 절충하거나 혼합한 것이 아..

Philosophy 2025.04.01

중세 교부철학 9. 동서 교회 분기와 후기 교부철학

서론: 교부시대의 후기 전환점5세기부터 8세기에 이르는 후기 교부시대는 로마 제국의 분열과 서로마 제국의 몰락, 게르만족의 대이동과 이슬람의 확장 등 역사적 격변기와 맞물린다. 이 시기는 기독교 교회가 동방(비잔틴)과 서방(로마)으로 점차 분화되어 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정치적, 문화적, 언어적 차이와 함께 신학적, 철학적 강조점의 차이가 두 전통 사이에 뚜렷해지기 시작한다. 이번 강의에서는 동서 교회의 분기 과정과 그 속에서 발전한 후기 교부철학의 주요 흐름을 살펴본다.동서 교회 분기의 역사적 배경정치적, 지리적 요인395년 테오도시우스 황제의 사망과 함께 로마 제국은 공식적으로 동서로 분열되었다. 서로마 제국은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476년 최종적으로 몰락했지만,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은 1453년..

Philosophy 2025.04.01

중세 교부철학 8. 아우구스티누스(II) – 교리와 철학적 체계

서론: 후기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맥락아우구스티누스의 후기 사상은 주교로서 활동하던 시기(395-430년)에 형성된 것으로, 이 시기 그는 교회의 지도자로서 여러 이단들과 논쟁하며 정통 기독교 교리를 수호하고 체계화했다. 특히 도나투스파, 펠라기우스파와의 논쟁은 그의 성사론, 교회론, 은총론, 예정론 등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410년 서로마 제국의 수도 로마가 서고트족에 의해 함락되는 역사적 사건은 그의 역사철학과 사회사상이 집대성된 『신국론』의 집필 계기가 되었다.이번 강의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후기 사상, 특히 『삼위일체론』, 『신국론』 등 주요 저작에 나타난 신학적·철학적 체계를 살펴보고, 이것이 중세 서구 사상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후기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요 저작『삼위일체론』(..

Philosophy 2025.04.01

중세 교부철학 7. 아우구스티누스(I) – 생애와 초기 사상

서론: 서양 사상의 거인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354-430)는 서양 기독교 사상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로, 그의 사상은 중세 전체를 지배했을 뿐만 아니라 종교개혁과 근대 철학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고대와 중세를 잇는 다리 역할을 했으며, 철학과 신학, 인간 내면의 탐구와 사회적 비전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강의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초기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그가 어떻게 서구 기독교 사상의 기틀을 마련했는지 탐구한다.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출생과 성장 배경 (354-373)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북아프리카 타가스테(현재의 알제리 수크아라스)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파트리키우스(Patricius)는 ..

Philosophy 2025.04.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