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스콜라 철학 14. 스콜라 철학의 계승과 변화 – 후기 스콜라 및 '제2 스콜라주의'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그리고 근대 과학의 등장으로 인해 스콜라 철학이 유럽 지성계에서 지배적 위치를 상실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16-17세기에 스페인을 중심으로 스콜라 철학은 새로운 형태로 재탄생했다. 이른바 '제2 스콜라주의(Second Scholasticism)' 또는 '스페인 스콜라주의'로 알려진 이 지적 운동은 중세 스콜라 철학의 통찰을 새로운 시대적 맥락에 맞게 재해석하고 발전시켰다. 오늘은 이 후기 스콜라 운동의 주요 인물들과 그들의 사상, 그리고 이 운동이 근대 및 현대 사상에 미친 영향을 탐색해 볼 것이다.제2 스콜라주의의 역사적 맥락16세기 스페인은 유럽에서 독특한 위치에 있었다. 한편으로는 신세계 탐험으로 인한 경제적, 정치적 팽창기를 맞이하고 있..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12. 신비주의 전통과 스콜라 철학의 접점

중세 유럽의 지성사에서 스콜라 철학은 종종 논리적 엄밀함과 체계적 이성을 강조하는 전통으로 이해된다. 반면, 신비주의 전통은 직접적 경험과 합리적 사고를 초월하는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흐름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 두 전통 사이에는 단순한 대립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풍요로운 상호작용이 존재했다. 오늘은 중세 신비주의와 스콜라 철학의 접점을 탐색하며,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는 이 두 지적 조류가 어떻게 만나고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살펴보려 한다.중세 신비주의의 등장과 특성중세 신비주의는 단일한 운동이나 학파라기보다는, 신과의 직접적인 체험과 합일을 통한 영적 지식을 추구한 다양한 흐름들을 포괄한다. 12-14세기에 특히 활발했던 이 전통은, 종종 스콜라 철학의 형식적이고 개념적인 접근에 대한 반작용으로 이..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11. 스콜라 철학의 논리학과 학문 분류

중세 스콜라 철학은 단순히 신학적 교리의 체계화가 아니라, 지식 전반에 대한 깊은 탐구와 분류를 시도했던 지적 운동이었다. 특히 논리학은 스콜라 철학자들에게 있어 단순한 도구가 아닌, 진리 탐구의 핵심 방법론이자 학문의 근간이었다. 오늘은 스콜라 철학에서 발전한 논리학의 특성과 중세의 학문 분류 체계를 살펴보며, 그들이 어떻게 지식의 세계를 조직하고 이해했는지 탐색해보려 한다.중세 논리학의 발전과 특성중세 논리학은 고대 그리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초기에는 보에티우스(Boethius)의 라틴어 번역과 주석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Organon)'의 일부만이 알려져 있었는데, 이를 '옛 논리학(logica vetus)'이라 불렀다. 여기에는..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13. 스콜라 철학의 비판과 쇠퇴

중세 유럽의 지적 풍경을 수세기 동안 지배했던 스콜라 철학은 14세기 이후 점차 그 영향력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한때 대학과 교회의 지적 담론을 독점했던 이 철학적 전통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지적 변화 속에서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다. 오늘은 스콜라 철학이 어떻게 쇠퇴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철학적, 과학적 패러다임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14세기: 스콜라 철학의 내부적 균열스콜라 철학의 쇠퇴는 외부로부터의 도전만이 아니라 내부적 균열에서도 시작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로 대표되는 13세기 스콜라 철학의 종합적 체계는 14세기에 들어 여러 방향에서 도전받기 시작했다.유명론(Nominalism)의 도전윌리엄 오컴(William of Ockham)으로 대표되는 유명론자들은 아퀴..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10. 윌리엄 오컴의 유명론과 오컴의 칼날

중세 스콜라 철학의 역사에서 14세기는 중대한 전환점이었다. 둔스 스코투스의 복잡하고 정교한 형이상학 체계 이후, 철학의 방향은 급격히 바뀌기 시작했다. 이 변화의 중심에 서 있던 인물이 바로 윌리엄 오컴(William of Ockham, 약 1287-1347)이다. '유명론의 기수(標手)'로 알려진 오컴은 그의 단순성의 원리, 즉 '오컴의 칼날'로 중세 형이상학의 복잡한 구조를 날카롭게 잘라냈다. 오늘은 이 혁신적 사상가의 철학적 여정과 그가 남긴 지적 유산을 함께 살펴보려 한다.유명론자 오컴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윌리엄 오컴은 잉글랜드 서리(Surrey) 지방의 오컴 마을에서 태어났다.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로서 그는 옥스퍼드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당시의 기준으로도 과감하게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사상가였다..

Philosophy 2025.04.02

스콜라 철학 9. 둔스 스코투스의 존재론과 개체성에 관한 철학적 여정

중세 스콜라 철학의 흐름 속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철학자가 있다. 바로 '형이상학의 첨예화자(Doctor Subtilis)'라 불리는 요한네스 둔스 스코투스(Johannes Duns Scotus, 1266-1308)다. 아퀴나스 이후 스콜라 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스코투스의 사상은 존재론과 인식론의 영역에서 특히 두각을 나타낸다. 오늘은 스코투스가 남긴 철학적 유산과 그의 깊이 있는 사유의 세계를 함께 탐험해보려 한다.형이상학의 첨예화자, 둔스 스코투스스코투스는 현재 스코틀랜드로 알려진 지역에서 태어나 옥스퍼드와 파리에서 수학한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였다. 그는 짧은 생애 동안 놀라울 정도로 복잡하고 정교한 철학 체계를 구축했는데, 이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에 대한 비판적 응답과 함께 독자적인..

Philosophy 2025.04.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