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현대철학 22. 푸코(II), 들뢰즈·가타리

1. 후기 푸코: 윤리학으로의 전환푸코의 후기 사상(1970년대 말-1984년)은 이전의 권력-지식 분석에서 윤리와 주체성의 문제로 관심을 옮긴 것이 특징이다. 이 시기 그의 핵심 저작인 『성의 역사』 시리즈는 원래 6권으로 계획되었으나, 푸코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3권(『앎의 의지』, 『쾌락의 활용』, 『자기에의 배려』)만 완성되었다. (2018년 『고백의 역사』가 4권으로 출간되었다.)『성의 역사』 1권 『앎의 의지』(1976)에서 푸코는 여전히 중기의 관심사인 권력과 지식의 관계를 다루며, 근대 사회에서 성이 어떻게 권력-지식의 장이 되었는지 분석한다. 그러나 2, 3권(1984)에서는 고대 그리스-로마 사회로 시선을 돌려, 개인이 어떻게 자신을 윤리적 주체로 형성하는지, 즉 '자기의 테크놀로지(t..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21. 후기 구조주의(포스트구조주의) – 푸코(I)

1. 후기 구조주의의 등장과 특징1960년대 후반부터 프랑스를 중심으로 등장한 후기 구조주의(포스트구조주의)는 구조주의의 방법론적 통찰을 계승하면서도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극복하려는 사상적 흐름이다. 구조주의가 안정적이고 고정된 체계로서의 '구조'를 강조했다면, 후기 구조주의는 그러한 구조의 불안정성, 유동성, 역사성에 주목한다. 이는 단일하고 보편적인 구조보다 차이, 다양성, 우연성을 강조하는 전환을 의미한다.후기 구조주의의 핵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의 불확정성과 복수성을 강조한다. 구조주의가 의미를 구조 내 관계의 산물로 보았다면, 후기 구조주의는 의미가 결코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미끄러진다고 본다. 둘째, 권력과 지식의 관계에 주목한다. 특히 푸코는 지식 생산이 권력 관계와 ..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20. 구조주의(Structuralism) –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1. 구조주의의 등장 배경과 의의20세기 중반 프랑스를 중심으로 등장한 구조주의는 현대철학과 인문학 전반에 혁명적 영향을 미친 사상적 흐름이다. 구조주의는 단일한 학파나 이론이라기보다 언어학, 인류학, 문학비평, 정신분석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방법론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그 핵심은 개별 요소보다 '구조'를 중시하고, 요소들 간의 관계와 차이의 체계를 통해 의미가 생성된다고 보는 관점이다.구조주의의 등장은 여러 측면에서 현대철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첫째, 현상학과 실존주의가 강조했던 주체 중심적 철학에서 벗어나 비인격적인 구조와 체계를 강조하는 '주체의 탈중심화'가 일어났다. 둘째, 역사적 발전이나 기원에 대한 관심보다 공시적(synchronic) 구조 분석을 우선시하는 '반역사주의적' 경..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19. 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학적 철학

1. 프로이트와 무의식의 발견현대철학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있어 정신분석학의 등장은 결정적인 전환점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는 인간 정신에 대한 이해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그가 발견한 '무의식(unconscious)'이라는 개념은 이성과 의식을 중심으로 구축된 서구 철학의 인간관에 심각한 도전을 제기했다.프로이트는 히스테리 환자들의 치료 과정에서 의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정신 현상들을 발견했다. 꿈, 말실수, 망각, 신경증적 증상 등은 모두 무의식에 억압된 욕망이 변형된 형태로 표출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의 대표 저작 『꿈의 해석』(1900)에서 프로이트는 꿈이 "억압된 욕망의 위장된 충족"이라고 주장한다. 꿈은 무의미한 환상이 아니라 해독 가능한 정신적..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18. 비판이론(II) – 마르쿠제, 하버마스

1. 마르쿠제와 일차원적 인간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중요한 인물 중 하나인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현대 산업사회에 대한 철저한 비판을 전개했다. 그의 대표작 『일차원적 인간』(1964)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술과 소비가 어떻게 인간을 억압하는지 예리하게 분석한다. 마르쿠제에 따르면, 현대 산업사회는 물질적 풍요와 기술적 진보를 통해 겉으로는 자유와 행복을 약속하지만, 실제로는 비판적 사고 능력을 체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일차원적 사고와 행동만 남겨둔다.마르쿠제가 말하는 '일차원성'이란 기존 체제에 대한 비판이나 대안적 사고방식이 사라진 상태를 의미한다. 인간은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정체성을 확립한다고 착각하며, 이러한 허위적 욕구는 실제 인간의 해방과는 거리가 멀다. 특히 그는..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17.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비판이론(I)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형성과 역사적 배경프랑크푸르트 학파는 192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에 설립된 '사회연구소(Institut für Sozialforschung)'를 중심으로 형성된 사상가 집단을 일컫는다. 이 연구소는 유대계 사업가 펠릭스 바일(Felix Weil)의 재정적 지원으로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프리드리히 폴록, 에리히 프롬, 레오 뢰벤탈,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등이 중심 구성원으로 활동했다.프랑크푸르트 학파가 등장한 역사적 배경에는 20세기 초 유럽의 복잡한 정치적・사회적 상황이 자리하고 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 러시아 혁명의 성공과 독일 혁명의 실패, 바이마르 공화국의 혼란, 파시즘의 대두 등은 마르크스주의적 전망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Philosophy 2025.04.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