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현대철학 28. 포스트콜로니얼(탈식민) 이론과 비서구 담론

서구 중심 지식체계에 도전하는 새로운 목소리19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세계 대부분의 지역은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의 직접적 식민 지배를 경험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식민지가 정치적 독립을 이루었지만, 서구의 문화적·경제적·인식론적 지배는 계속되었다. 포스트콜로니얼 이론(탈식민 이론)은 바로 이러한 잔존하는 식민성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사유를 발전시키는 철학적·이론적 흐름이다.탈식민 이론은 단일한 학문 분야라기보다 문학, 역사학, 인류학, 철학, 정치학 등을 가로지르는 간학문적 접근이다. 그것의 주요 관심사는 식민 지배가 남긴 문화적·인식론적 유산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서구 중심적 지식체계와 역사 서술에 도전하는 것이다. 특히 서구와 비서구 사이의 이분법, '오리엔탈리즘'적 표상, 인종과 문화..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27. 페미니즘 철학과 젠더 이론

전통 철학의 경계를 허무는 페미니즘적 사유서양 철학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부터 칸트, 헤겔을 거쳐 현대 철학자들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남성에 의해 쓰여왔다. 페미니즘 철학은 이러한 철학적 전통이 남성 중심적 편향을 내포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철학의 기본 전제들과 방법론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한다. 특히 이성과 감정, 정신과 신체, 문화와 자연,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같은 이분법적 구분이 성별 위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한다.페미니즘 철학은 단일한 사상 체계라기보다는 여성의 종속과 억압에 도전하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의 집합이다. 이 과정에서 페미니즘은 단순히 여성의 지위 향상을 넘어, 지식과 권력, 주체성, 정체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제기하며 현대 철학의 지형을 변화시켰다.보부아르와 "제2..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26. 현대 윤리학과 정치철학 – 롤스, 노직, 아렌트

정의와 자유를 둘러싼 현대 정치철학의 대립20세기 후반 정치철학은 '어떤 사회가 좋은 사회인가'라는 고전적 질문으로 돌아갔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전체주의의 공포를 경험한 후, 철학자들은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정당성과 그 한계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시작했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존 롤스, 로버트 노직, 한나 아렌트 등의 사상가들은 정의, 자유, 공동체, 권리 같은 개념을 재해석하며 현대 정치철학의 새로운 지형을 형성했다.이들의 사상은 단순한 이론적 논쟁을 넘어 현실 정치의 지형도를 바꾸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복지국가의 정당성, 시장 자유주의의 한계, 시민적 참여의 중요성 등 오늘날 정치적 쟁점의 이론적 기반은 이들의 철학에서 많은 부분 발견된다.존 롤스와 정의론의 부활20세기 중반까지 윤리학과 정..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25. 현대 정신철학 – 마음·의식·인공지능

마음과 뇌, 그리고 의식이라는 미스터리오늘날 철학계에서 가장 뜨거운 논쟁을 꼽으라면 단연 '마음의 본성'에 관한 질문이 상위권에 든다.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우리의 의식 경험은 물리적 뇌와 어떤 관계인가? 컴퓨터나 AI는 인간처럼 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이런 질문들은 단순한 사변이 아닌, 인지과학과 뇌신경학의 발전과 맞물려 현대 정신철학(philosophy of mind)의 핵심 주제가 됐다.역사적으로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에서 시작된 '마음-몸 문제'는 오랜 철학적 난제였지만, 20세기 후반 분석철학 전통 안에서 이 문제는 더욱 복잡하고 정교한 논의로 발전한다. 존 설, 대니얼 데닛, 토머스 네이글 같은 현대 철학자들은 인지과학과 신경과학 연구 성과를 받아들이면서도, 의식 경험의 주관적 특..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24. 분석철학의 확장 – 퀸, 데이비슨, 크립키

1. 분석철학의 발전과 변화분석철학은 20세기 초 프레게, 러셀, 비트겐슈타인, 무어 등에 의해 시작된 철학적 전통으로, 언어, 논리, 과학적 방법을 통해 철학적 문제를 명확히 하고 해결하고자 했다. 초기 분석철학은 이상적 언어 구축, 형이상학 비판, 논리적 분석 등을 통해 전통 철학의 문제들을 해소하려 했고, 비엔나 학파의 논리실증주의로 발전했다.그러나 1950년대 이후 분석철학은 중요한 변화를 겪는다. 초기의 단순한 형이상학 거부와 언어 분석에서 벗어나,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철학적 탐구로 확장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윌러드 밴 오먼 퀸(W. V. O. Quine), 도널드 데이비슨(Donald Davidson), 사울 크립키(Saul Kripke) 등의 철학자들이 있었다.이들은 논리실증주..

Philosophy 2025.04.06

현대철학 23. 데리다와 해체주의(Deconstruction)

1. 데리다의 생애와 지적 배경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는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프랑스 알제리(당시 프랑스령)의 엘비아르에서 유대계 가정에 태어났다. 그는 알제리와 프랑스에서 성장하며 식민지 경험과 반유대주의를 몸소 겪었고, 이러한 경험은 그의 철학적 사유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데리다는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수학했으며, 그곳에서 푸코, 알튀세르 등 당대 프랑스 지성계의 주요 인물들과 교류했다. 1950년대와 60년대 초반 그는 현상학, 특히 후설의 사상에 깊이 천착했으며, 후설의 저작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현상학의 핵심 전제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발전시켰다.1967년은 데리다에게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그 해..

Philosophy 2025.04.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