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미학개론 10. 슐레겔 형제와 낭만주의 미학

낭만주의 미학의 등장 배경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유럽에서 등장한 낭만주의 운동은 단순한 예술 사조를 넘어 철학, 문학, 음악, 미술 등 문화 전반에 걸친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계몽주의가 강조한 이성과 합리성에 대한 반발로 시작된 낭만주의는 상상력, 감정, 자연의 신비, 개인의 주관성과 창조성을 중시했다. 특히 독일에서 꽃핀 초기 낭만주의(Frühromantik)는 미학 이론의 혁신적 전환점이 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슐레겔 형제가 있었다.낭만주의 미학의 배경에는 칸트의 비판철학과 피히테의 주관적 관념론, 그리고 프랑스 혁명의 이상과 좌절이 있었다. 이러한 철학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낭만주의자들은 예술을 통한 새로운 세계관의 구축을 꿈꾸었다. 그들에게 예술은 단순한 모방이나 즐거움의 대상이..

Aesthetics 2025.04.07

미학개론 9. 칸트의 미학(2) – 숭고 개념

숭고 개념의 등장과 역사적 배경'숭고(sublime)'는 아름다움(beauty)과 함께 서양 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미적 범주 중 하나로, 특히 18세기와 19세기 미학 담론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했다. 칸트가 숭고 개념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전, 이 개념은 이미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문헌 『숭고에 관하여(Peri Hypsous)』(일반적으로 롱기누스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음)에서 숭고는 주로 수사학적 개념으로, 청중을 압도하고 황홀경에 이르게 하는 웅변술의 특성을 가리켰다.그러나 근대 미학에서 숭고 개념이 본격적으로 부활한 것은 18세기 영국의 철학자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의 『숭고와 아름다움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1757)를 통해서였다. 버크는 숭고..

Aesthetics 2025.04.07

미학개론 8. 칸트의 미학(1) – 선험적 조건과 미 판단력 비판

칸트의 철학적 배경과 미학의 위치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근대 철학의 혁명적 인물로, 그의 사상은 서양 미학사에서 결정적인 전환점을 이룬다. 독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평생을 보낸 칸트는 『순수이성비판』(1781), 『실천이성비판』(1788)에 이어 세 번째 주요 비판서인 『판단력비판』(1790)에서 자신의 미학 이론을 본격적으로 전개했다. 이는 단순한 예술론이 아닌, 그의 방대한 철학 체계의 핵심 부분으로 인식론과 윤리학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한다.칸트는 인간 정신의 세 가지 능력인 인식, 욕구, 쾌・불쾌의 감정에 각각 이론철학, 실천철학, 미학을 대응시켰다. 『판단력비판』은 바로 이 세 번째 영역, 즉 쾌・불쾌의 감정과 관련된 판단력을 다루며, 인간의 미적 체험이 ..

Aesthetics 2025.04.07

미학개론 7. 계몽주의와 미학

계몽주의의 등장과 미학적 의미18세기 유럽에서 꽃핀 계몽주의는 단순한 사상적 운동을 넘어 미학의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감히 알려고 하라(Sapere aude)'라는 모토 아래, 이성과 합리성을 강조하던 계몽주의는 미(美)와 예술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까지 신학적 관점이나 절대 왕권의 권위에 종속되었던 미적 판단이 점차 자율성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계몽주의 시대에는 예술이 단순한 장식이나 권력의 과시 수단이 아닌, 인간의 이성과 감성을 계발하는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 등장한 미학 이론들은 예술의 사회적 효용, 취미의 보편성, 미적 판단의 기준 등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졌다.바움가르텐과 미학의 탄생'미학(Aesthetics)'이라는 용어 자체가 공..

Aesthetics 2025.04.07

미학개론 6. 바로크·로코코 시대 미학

바로크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바로크(Baroque) 시대는 대략 17세기 초부터 18세기 중반까지 유럽 문화를 지배한 예술 양식과 미학적 경향을 지칭한다. 이 시기는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사이의 과도기로,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 절대왕정의 확립, 과학 혁명, 초기 자본주의의 발달 등 급격한 사회적, 정신적 변화가 일어났다.바로크라는 용어의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일반적으로 포르투갈어 'barroco'(일그러진 진주)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초기에는 르네상스의 고전적 조화와 균형에서 벗어난 예술을 비판하는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19세기 이후 하나의 독자적인 예술 양식으로 재평가되었다.바로크 시대의 정신적 배경으로는 가톨릭 교회의 반종교 개혁과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의 영향이 중요하다...

Aesthetics 2025.04.07

미학개론 5. 르네상스 미학

르네상스의 역사적 배경과 인간중심적 세계관르네상스는 14세기부터 17세기 초까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문화적·지적 운동이다. '르네상스(Renaissance)'라는 말은 '재탄생' 또는 '부활'을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의 재발견과 부활을 통해 중세의 신중심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중심적 세계관을 확립한 시기를 가리킨다.여러 역사적 요인이 르네상스의 탄생에 기여했다. 14세기에 비잔틴 제국이 쇠퇴하면서 많은 그리스 학자들이 서유럽, 특히 이탈리아로 이주했고, 이들은 고대 그리스·로마의 문헌과 철학을 가져왔다. 십자군 전쟁 이후 동서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이탈리아 도시들(피렌체, 베네치아, 밀라노 등)은 부를 축적했고, 이 경제적 번영이 예술과 학문의 후원으로 이어졌다. 특히 ..

Aesthetics 2025.04.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