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프랑스 역사 1. 선사시대 프랑스의 구석기 문화와 라스코 동굴벽화 - 인류 최초의 예술혼과 문명의 시작

프랑스 땅에 인간의 발자취가 처음 새겨진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40만 년 전이다. 현재의 프랑스 남서부 지역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흔적들은 이 땅이 얼마나 오래전부터 인류의 터전이었는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진정한 문화적 혁명은 약 4만 년 전 크로마뇽인이 등장하면서 시작된다.구석기 시대 프랑스의 지리적 환경빙하기가 끝나갈 무렵인 구석기 후기, 현재의 프랑스 지역은 오늘날과는 완전히 다른 모습이었다. 도르도뉴 강과 베제르 강이 흐르는 아키텐 지역은 매머드와 들소, 순록들이 떼를 지어 이동하는 거대한 초원이었다. 이곳의 석회암 절벽들은 자연스럽게 동굴을 형성했고, 구석기인들에게는 더없이 완벽한 거주지가 되어주었다.특히 베제르 계곡 일대는 구석기 문화의 보고라 할 수 있다. 레 에지 드 타야크, 라 페라시..

History/Europe 2025.07.01

이탈리아 역사 90. 난민 위기와 포퓰리즘의 확산 - 오성운동과 동맹의 연정 변동을 통한 정치 지형 재편

2010년대 중반 이탈리아는 두 가지 거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지중해를 건너오는 난민들의 급증과 기존 정치 시스템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그것이었다. 아랍의 봄과 시리아 내전, 리비아 정정 불안으로 인해 수십만 명의 난민들이 이탈리아 해안으로 몰려들었고, 이는 이탈리아 사회에 전례 없는 충격을 주었다. 동시에 경제 위기의 후유증과 기존 정치 엘리트들에 대한 실망은 포퓰리즘 정당들의 급성장을 가능하게 했다. 베페 그릴로의 오성운동과 마테오 살비니의 동맹이 이탈리아 정치의 새로운 주역으로 떠오르며, 전통적인 좌우 구도를 완전히 뒤바꿔 놓았다.지중해 난민 위기의 심화와 이탈리아의 부담2014년부터 본격화된 지중해 난민 위기는 이탈리아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시련이었다. 시리아 내전이 격화되고 리비아가 무정부 상태..

History/Europe 2025.06.25

이탈리아 역사 89. 유로존 부채 위기와 긴축 정책의 사회적 파장 - 몬티 기술내각과 노동시장 개혁을 통한 경제 구조조정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유럽을 강타하면서, 이탈리아는 유로존 부채 위기의 핵심부에 서게 되었다.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과 함께 남유럽 국가들이 직면한 경제 위기는 이탈리아에게 특히 치명적이었다. 높은 정부 부채비율과 낮은 경제 성장률이 맞물리면서 국가 신용도가 급락했고, 이는 곧 정치적 위기로 이어졌다. 2011년 베를루스코니 정부의 몰락과 마리오 몬티 기술내각의 등장은 이탈리아 현대사에서 경제 위기가 정치 변화를 이끈 대표적 사례가 되었다.유로존 부채 위기의 전개와 이탈리아의 취약성2010년 그리스 부채 위기로 시작된 유로존의 경제적 혼란은 점차 다른 남유럽 국가들로 확산되었다. 이탈리아는 경제 규모 면에서 그리스나 포르투갈보다 훨씬 컸기 때문에, 이탈리아의 위기는 유로존 전체의 존립을..

History/Europe 2025.06.25

이탈리아 역사 88. 베를루스코니와 미디어-정치 융합의 시대 -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과 두 차례 대연정 시도를 통한 새로운 정치 질서

마니 풀리테 수사로 기존 정치 체제가 완전히 붕괴된 1994년, 이탈리아 정치 무대에 전혀 새로운 인물이 등장했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미디어 재벌에서 정치인으로 화려하게 변신하며 이탈리아 현대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 그의 등장은 단순히 새로운 정치인의 출현이 아니라, 미디어와 정치가 융합되는 전혀 새로운 형태의 권력 구조를 만들어냈다. 포르차 이탈리아라는 정당을 창당한 베를루스코니는 20년간 이탈리아 정치를 지배하며 제2공화국의 얼굴이 되었다.베를루스코니의 정치 진출과 배경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정치에 뛰어든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1994년 당시 그는 이미 이탈리아 최고의 미디어 재벌이자 AC 밀란의 구단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메디아셋을 통해 이탈리아 상업방송의 80%를 장악하고 ..

History/Europe 2025.06.25

이탈리아 역사 87. 마니 풀리테 수사와 제1공화국의 붕괴 - 크락시, 안드레오티 스캔들과 정당 시스템의 완전한 해체

1992년 2월 17일 밀라노에서 시작된 한 건의 뇌물 수사는 이탈리아 현대사를 완전히 뒤바꿔 놓았다. '깨끗한 손(마니 풀리테)'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이 수사는 단순한 부패 척결을 넘어서 전후 50년간 지속되어온 이탈리아 정치 시스템을 송두리째 무너뜨렸다. 전국을 뒤흔든 이 거대한 정치적 지진은 제1공화국의 종말과 새로운 정치 질서의 탄생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마니 풀리테 수사의 시작과 확산마니 풀리테 수사는 작은 사건에서 출발했다. 밀라노의 한 노인요양원 원장 마리오 키에사가 공공사업 계약과 관련해 7백만 리라의 뇌물을 받다가 체포된 것이 발단이었다. 하지만 이 사소해 보이는 사건은 곧 이탈리아 정치계를 뒤흔드는 거대한 스캔들의 서막에 불과했다.수사를 주도한 안토니오 디 피에트로 검사와 그의 동료들은..

History/Europe 2025.06.25

이탈리아 역사 86. 탈공업화 시대의 도래와 유럽경제공동체 가입을 통한 경제 전환 - 1980년대 재정 적자 위기와 마스트리히트 조약

1980년대는 이탈리아 현대사에서 경제 구조의 근본적 변화를 겪은 시기로 기록된다. 전후 경제 기적의 여파가 점차 사라지면서, 이탈리아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이는 단순히 산업 구조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경제 전체의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전환점이었다.탈공업화 물결과 제조업 위기1970년대 말부터 본격화된 탈공업화는 이탈리아 경제에 양면적 영향을 미쳤다. 전통적인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가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북부 공업 지대의 대규모 공장들이 생산성 위기에 직면했다. 특히 철강, 화학, 조선업 등 중공업 부문에서 국제 경쟁력이 급격히 저하되었다.피아트의 경우 1980년 가을 대규모 파업 사태를 겪으면서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토리노 미라피오..

History/Europe 2025.06.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