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헬레니즘 및 로마 철학 14. 신플라톤주의와 영혼론, 인식론

1. 신플라톤주의 영혼론의 기본 구조1.1. 영혼의 본질과 위상신플라톤주의에서 영혼(psychē)은 일자(一者, The One)와 물질 세계 사이의 중간자적 존재로, 형이상학적 체계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플로티노스에 따르면, 영혼은 정신(Nous)으로부터 유출되었으며, 물질세계보다는 정신에 더 가깝지만, 정신의 단일성과 영원성에는 미치지 못하는 이중적 본성을 지닌다.영혼의 본질적 특성은 자기 운동(self-movement)과 생명 부여 능력이다. 영혼은 스스로 움직이는 원리이며, 다른 것들에 생명과 운동을 부여한다. 이러한 개념은 플라톤의 『파이드로스』와 『티마이오스』에서 이미 제시된 것이지만, 플로티노스는 이를 더욱 체계화하여 우주론적 차원으로 확장했다.영혼은 또한 분할되지 않으면서도 모든 곳..

Philosophy 2025.03.31

헬레니즘 및 로마 철학 13. 신플라톤주의 철학 이론: 일자(太一)와 유출설

1. 일자(一者, The One)의 개념과 특성1.1. 절대적 초월성의 원리신플라톤주의 철학의 핵심에는 '일자(一者, The One)'라는 개념이 있다. 이는 플로티노스가 자신의 형이상학 체계의 정점에 위치시킨 원리로, 모든 존재와 사유를 초월하는 절대적 통일성의 원리다. 플로티노스의 일자는 플라톤의 『국가』에 등장하는 '선(善)의 이데아'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더욱 철저하게 초월적이고 규정불가능한 것으로 발전되었다.일자는 모든 다수성과 복잡성, 그리고 모든 존재론적 규정 이전에 있는 절대적 단일성이다. 그것은 어떤 한정이나 규정도 받지 않으며, 따라서 엄밀히 말해 '존재'라고도 할 수 없다. 오히려 일자는 모든 존재의 가능성을 초월하는 원리다. 플로티노스는 『엔네아데스』 5권 4장에서 "일자는 모든 것..

Philosophy 2025.03.31

헬레니즘 및 로마 철학 12. 신플라톤주의 개요: 플로티노스~프로클로스

1. 신플라톤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등장1.1. 신플라톤주의의 시대적 맥락3세기 로마 제국은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불안, 문화적 변동의 시기를 겪고 있었다. '군인 황제들의 시대'라 불리는 이 시기에 제국은 내부적 분열과 외부적 위협에 동시에 직면했다. 이러한 불안정한 시대 상황은 철학적 사유에도 영향을 미쳐, 보다 초월적이고 내면적인 구원에 관심을 기울이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신플라톤주의는 바로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철학적 대안으로 등장하게 된다.1.2. 중기 플라톤주의로부터의 발전신플라톤주의는 중기 플라톤주의의 자연스러운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중기 플라톤주의가 이미 형이상학적, 신학적 경향을 강화하고 있었으며, 특히 누메니우스(Numenius of Apamea)와 같은 철학자들은 최고..

Philosophy 2025.03.31

헬레니즘 및 로마 철학 11. 중기 플라톤주의의 전개

1. 중기 플라톤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등장1.1. 시대적 맥락과 철학적 전환점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초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플라톤의 사상은 특별한 변화와 부활을 경험한다. 기원전 1세기부터 서서히 형성되기 시작한 중기 플라톤주의는 단순히 플라톤의 원래 사상을 복원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당시 시대적 요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재해석되고 확장되는 역동적인 철학적 움직임이었으며, 이는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1.2. 중기 플라톤주의 등장의 사상적 배경중기 플라톤주의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무엇보다 헬레니즘 시대의 여러 철학 사조들(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학파, 회의주의 등)이 제시한 세계관과 인간관에 대한 일종의 반작용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물질주의적 경향이 강..

Philosophy 2025.03.31

헬레니즘 및 로마 철학 10. 회의주의 II: 피론주의와 지식론·윤리학

1. 셱스투스 엠피리쿠스의 생애와 저작1.1 셱스투스 엠피리쿠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셱스투스 엠피리쿠스(Sextus Empiricus)는 후기 피론주의 회의주의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며, 그의 저작은 고대 회의주의에 대한 가장 완전한 기록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이처럼 중요한 인물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전기적 사실은 매우 제한적이다.생애와 활동 시기: 셱스투스는 기원후 2세기 후반에서 3세기 초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정확한 출생지와 사망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직업과 교육: '엠피리쿠스'라는 이름은 그가 경험파(Empiricist) 의학 학파에 속했음을 시사한다. 이 학파는 이론적 추론보다 경험과 관찰을 중시했으며, 이러한 접근법은 그의 철학적 회의주의와 조화를 이루었다.활동 지역: 그는 ..

Philosophy 2025.03.30

헬레니즘 및 로마 철학 9. 회의주의 I: 피론주의의 등장과 중기 아카데미

1. 헬레니즘 시대 회의주의의 역사적 배경헬레니즘 시대 회의주의는 당시의 사회적, 지적 맥락 속에서 등장했으며, 그리스 사상의 독특한 발전 경로를 보여준다. 기원전 4세기 말부터 융성하기 시작한 회의주의는 당시 철학계를 지배하던 독단적 체계들에 대한 반작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1.1 정치적, 문화적 맥락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 이후 그리스 문화가 지중해와 근동 지역으로 확산된 시기다. 이 시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정치적 불안정: 알렉산더 사후 그의 제국은 여러 경쟁 왕국으로 분열되었고, 이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가했다.문화적 다원성: 그리스인들은 이전에 접하지 못했던 다양한 문화, 종교, 관습을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다원성은 기존 그리스 가치관과 믿음에 대한 상대주..

Philosophy 2025.03.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