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은 자연의 객관적 진리를 발견하는 활동일까, 아니면 사회적으로 구성된 지식 체계일까? 전통적인 과학관은 과학지식이 자연에 대한 객관적 진실을 점진적으로 밝혀낸다고 본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등장한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은 과학지식 역시 사회적 맥락과 문화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이번 글에서는 인식론적 대칭성 원칙을 중심으로 사회구성주의의 주요 주장과 과학지식의 사회적 차원을 탐구한다.과학의 사회학과 지식사회학의 등장전통적 과학관과 머튼의 과학사회학과학지식의 사회적 차원에 관한 논의는 로버트 머튼(Robert Merton)의 과학사회학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머튼은 과학을 하나의 사회적 제도로 바라보고, 과학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규범들을 분석했다. 그가 제시한 과학의 규범적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