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정치철학 21. 페미니즘 정치철학

페미니즘 정치철학은 기존 정치사상의 성별 편향성을 비판하고, 젠더 관계를 중심으로 정치적 권력과 제도를 재해석하는 이론적 흐름이다. 단일한 이론이라기보다는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을 포괄하는 넓은 스펙트럼의 사상 운동으로, 20세기 후반부터 정치철학의 주요 조류로 자리매김했다. 오늘은 주요 페미니스트 정치철학자들의 핵심 쟁점과 이론을 살펴보고, 이들이 전통적 정치철학에 제기한 근본적 도전과 기여를 분석한다.페미니즘 정치철학의, 등장과 발전페미니즘 정치사상의 뿌리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메리 울스턴크래프트(Mary Wollstonecraft)의 『여성의 권리 옹호(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Woman)』(1792)는 계몽주의적 이상이 여성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

Philosophy 2025.04.12

정치철학 20. 공동체주의와 비판

1980년대부터 본격화된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 운동은 현대 자유주의 정치철학에 대한 강력한 비판과 대안으로 등장했다. 공동체주의자들은 롤스로 대표되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가 인간의 사회적 본성과 공동체적 맥락을 간과한다고 비판하며, 보다 풍부한 도덕적·정치적 비전을 제시하고자 했다. 공동체주의는 단일한 이론이라기보다 다양한 사상가들이 공유하는 문제의식의 집합이라 할 수 있다. 자유주의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비판추상적 개인주의 비판공동체주의자들이 가장 근본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자유주의의 '무연고적 자아(unencumbered self)' 개념이다.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은 롤스의 정의론이 전제하는 인간관이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한다. 롤스의 '원초적 위치..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9. 자유지상주의 – 노직과 하이에크

20세기 후반, 롤스의 정의론이 학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을 때, 그에 대한 가장 강력한 비판 중 하나가 자유지상주의(Libertarianism) 진영에서 제기되었다. 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재산권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며, 국가의 역할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치철학적 입장이다. 특히 로버트 노직(Robert Nozick)과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riedrich Hayek)는 자유지상주의 정치철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대표적 사상가로 꼽힌다.노직의 최소국가론하버드 대학교 철학자였던 로버트 노직(1938-2002)은 1974년 출간한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Anarchy, State, and Utopia)』를 통해 롤스의 『정의론』에 정면으로 도전했다. 노직의 책은 출간 즉시 큰 반향..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8. 롤스의 정의론과 현대 자유주의

20세기 후반 정치철학의 지형도를 완전히 바꿔놓은 이름을 꼽으라면 단연 존 롤스(John Rawls, 1921-2002)를 빼놓을 수 없다. 1971년 출간된 그의 역작 『정의론(A Theory of Justice)』은 당시 쇠퇴하던 정치철학 분야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 책의 등장 이후 정치철학계는 롤스의 이론을 둘러싼 찬반 논쟁으로 활기를 띠게 된다. 롤스 이전: 공리주의의 한계롤스의 정의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극복하고자 했던 대상, 즉 공리주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벤담(Jeremy Bentham)에서 밀(John Stuart Mill)로 이어지는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며, 좋은 사회란 전체 효용(utility)을 극대화하는 사회라고 주장했다.하지만 롤..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7. 보수주의와 19세기·20세기 정치사상

보수주의의 기원과 에드먼드 버크보수주의(conservatism)는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에 대한 반동으로 등장한 정치사상으로, 급진적인 사회변화에 대한 경계와 전통, 역사적 연속성, 실천적 지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보수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진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1729-1797)는 『프랑스 혁명에 관한 고찰』(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in France, 1790)에서 프랑스 혁명의 급진적 성격을 비판하고, 영국의 점진적 개혁 전통을 옹호했다.에드먼드 버크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버크는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태어나 영국 의회에서 활동한 정치인이자 사상가였다. 그는 휘그당(Whig Party)의 일원으로, 미국 식민지의 자치권을 지지하고 영국의 인도 통치를 개혁..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6. 공리주의 정치철학 – 밀

공리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발전공리주의(Utilitarianism)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에 걸쳐 영국에서 발전한 도덕·정치철학으로, 행위와 제도의 도덕적 가치를 그것이 가져오는 결과, 특히 행복이나 쾌락의 증진과 고통의 감소에 따라 평가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의 뿌리는 에피쿠로스와 같은 고대 사상가들에게서도 찾을 수 있지만, 근대적 형태의 공리주의는 영국의 계몽주의와 산업혁명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맥락에서 발전했다.18세기 말 영국은 급격한 산업화와 함께 사회경제적 변화를 겪고 있었다. 전통적인 제도와 관행이 새로운 조건에 맞지 않게 되면서, 사회개혁을 위한 합리적 기준이 필요했다. 종교적 권위나 전통적 관습에 의존하는 대신, 공리주의자들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세속적이고 계산 가능한 원칙을 ..

Philosophy 2025.04.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