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언어철학 11. 퍼트남의 의미 외재주의와 쌍둥이 지구 사고실험을 통한 지시 이론의 혁명적 변화

힐러리 퍼트남(Hilary Putnam)은 20세기 후반 언어철학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철학자 중 한 사람이다. 특히 그가 제안한 '의미의 외재주의(semantic externalism)'는 전통적인 의미 이론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했다. 퍼트남은 크립키와 함께 '새로운 지시 이론(New Theory of Reference)'의 주요 인물로, 의미와 지시에 관한 우리의 이해를 크게 변화시켰다.의미의 외재주의: '의미는 머릿속에 있지 않다'퍼트남의 가장 유명한 주장은 "의미는 머릿속에 있지 않다(Meanings ain't in the head)"라는 문장으로 요약된다. 이는 전통적인 의미 이론, 특히 프레게와 러셀에서 출발한 내재주의적 관점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 내재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단어의 의미..

Philosophy 2025.04.18

언어철학 10. 크립키의 양상논리와 강건지시자, 필연성에 관한 새로운 통찰과 존재론적 함의

솔 크립키(Saul Kripke)는 20세기 후반 언어철학과 형이상학 분야에 혁명적인 통찰을 가져온 철학자다. 특히 그의 '명명과 필연성(Naming and Necessity)'은 기존의 프레게-러셀 전통의 의미론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게 만든 중요한 저작이다. 크립키의 이론이 가져온 파급력은 단순히 언어철학 내부에 국한되지 않고, 형이상학과 마음철학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강건지시자(rigid designator) 개념의 혁신성크립키가 제안한 '강건지시자(rigid designator)'라는 개념은 기존 언어철학의 패러다임을 뒤흔든 혁신적인 아이디어다. 강건지시자란 모든 가능세계에서 동일한 대상을 지시하는 표현을 말한다. 그에 따르면 고유명사(proper names)는 전형적인 강건지시자다..

Philosophy 2025.04.17

언어철학 9: 현대 의미론 II - 몬태규 문법과 형식 의미론의 혁명

현대 언어철학과 형식 의미론의 역사에서 리처드 몬태규(Richard Montague, 1930-1971)의 작업은 획기적인 전환점이었다. 몬태규는 자연언어에 대한 정밀한 수학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언어학과 철학 사이의 교량을 놓았다. 그의 유명한 선언 "나는 영어와 같은 자연 언어를 정식으로 구성된 인공 언어의 일종으로 간주한다"는 자연언어에 대한 그의 혁명적 접근법을 잘 보여준다. 이번 글에서는 몬태규가 발전시킨 형식 의미론의 체계, 이른바 '몬태규 문법(Montague Grammar)'에 대해 살펴본다.몬태규의 비전: 자연언어의 정밀한 형식화리처드 몬태규는 1930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UC 버클리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논리학자 알프레드 타르스키의 지도를 받은 그는 논리학, ..

Philosophy 2025.04.17

언어철학 8: 현대 의미론 I - 명제 의미론과 형식화의 세계

현대 언어철학에서 의미론(semantics)은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영역 중 하나다. 이전 회차들에서 살펴본 프레게, 러셀, 비트겐슈타인, 오스틴, 서얼 등의 철학자들이 언어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통찰을 제공했다면, 20세기 중반 이후 발전한 현대 의미론은 이러한 통찰을 더욱 체계적이고 정교하게 발전시켜왔다. 특히 형식 논리학과 수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명제 의미론(propositional semantics)'의 발전은 자연언어의 의미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모델링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이번 글에서는 현대 의미론의 기초가 되는 명제 의미론과 그 형식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의미론의 기본 질문: 언어는 어떻게 세계와 연결되는가?의미론의 가장 기본적인 질문은 "언어 표현이 어떻게 의미를 갖게 ..

Philosophy 2025.04.17

언어철학 7: 서얼의 발화행위 이론 확장 - 의도성, 규칙, 사회적 현실의 구성

존 R. 서얼(John R. Searle, 1932-)은 오스틴이 시작한 발화행위 이론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철학적으로 심화시킨 현대 언어철학의 거장이다. 오스틴의 제자로 시작했지만, 서얼은 단순히 스승의 이론을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인간 마음, 사회적 현실, 제도적 사실의 본질에 관한 폭넓은 철학적 탐구로 확장했다. 이번 글에서는 서얼이 오스틴의 발화행위 이론을 어떻게 확장하고 심화했는지, 그리고 그의 이론이 가진 철학적 함의를 살펴본다.서얼의 발화행위 분류: 체계적 정교화서얼은 오스틴의 발화수반행위(illocutionary acts) 분류가 일관된 분류 기준 없이 다소 혼란스럽게 제시되었다고 보고, 이를 더 체계적으로 재정리했다. 그는 1969년 출판된 『발화행위: 언어철학에 관한..

Philosophy 2025.04.17

언어철학 6: 오스틴의 발화행위 이론 - 말하는 것이 곧 행동이다

언어는 단순히 세계를 기술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인가? 아니면 그 이상의 것인가? 20세기 중반, 영국의 철학자 존 랭쇼 오스틴(J. L. Austin, 1911-1960)은 이 질문에 대한 혁신적인 답변을 제시했다. 그는 언어가 단지 현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창조하고 변형시키는 행위라는 급진적인 관점을 발전시켰다. 오스틴의 발화행위 이론(speech act theory)은 언어철학의 지형을 영원히 바꾸어 놓았으며, 오늘날 언어학, 인지과학, 인공지능, 법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일상 언어 철학의 배경오스틴은 1950년대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발전한 '일상 언어 철학(ordinary language philosophy)' 운동의 핵심 인물이었다. 이 ..

Philosophy 2025.04.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