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중국철학 4. 맹자: 성선(性善)론 - 인간관, 정치이념, 도의론의 탐구

맹자(孟子, 기원전 372~289)는 공자 이후 유가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대표적 사상가로, 중국 철학사에서 '아성(亞聖)', 즉 공자에 버금가는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전국 시대의 혼란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맹자는 인간 본성의 선함을 주장하는 성선설(性善說)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했다. 그의 사상은 『맹자(孟子)』라는 책으로 전해지며,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 이상적인 정치 질서의 구현, 도덕적 수양의 방법 등에 관한 심오한 통찰을 담고 있다. 맹자의 성선론을 중심으로 그의 인간관, 정치이념, 도의론을 살펴본다.맹자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맹자는 기원전 372년경 노(魯)나라 추읍(鄒邑)에서 태어났다. 어머니가 자녀 교육에 헌신했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의 일화는 널리 알려져 있다..

Philosophy/Oriental 2025.04.19

중국철학 3. 공자와 『논어』 - 인(仁)·예(禮)·군자 개념을 중심으로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는 중국 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그의 사상은 25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중국과 동아시아 문화권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춘추시대 말기의 혼란한 사회 속에서 공자는 인간의 도덕적 수양과 이상적인 사회 질서의 회복을 위한 철학적 토대를 마련했다. 그의 사상은 제자들에 의해 기록된 『논어(論語)』를 통해 전해지고 있으며, 이 텍스트는 유교의 핵심 경전으로 자리 잡았다. 공자의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인(仁), 예(禮), 군자(君子)를 중심으로 그의 도덕 철학을 살펴본다.공자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공자는 기원전 551년 노(魯)나라의 창평(昌平)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본래 귀족 출신이었으나, 공자가 태어날 당시에는 이미 몰락한 상태였다. 공자는..

Philosophy/Oriental 2025.04.19

중국철학 2. 선진(先秦) 시대의 지적 지형과 제자백가의 형성 배경

선진(先秦) 시대는 중국철학의 황금기로 불린다. 춘추전국 시대라는 격변의 사회적 배경 속에서 다양한 사상가들이 등장하여 각자의 철학적 체계를 구축했고, 이들의 사상은 이후 2천 년이 넘는 중국 사상사의 토대가 되었다. 이 시기에 형성된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사상적 지형을 이해하는 것은 중국철학 전체를 파악하는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선진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지적 환경선진 시대, 특히 춘추전국 시대(기원전 770년~기원전 221년)는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우면서도 지적으로 가장 활발했던 시기다. 주(周) 왕실의 권위가 쇠퇴하고 제후국들이 독자적인 세력을 키우면서, 기존의 정치적·사회적 질서가 급격히 무너졌다. 천자(天子)를 중심으로 한 봉건 질서는 명목상으로만 존재했고, 실질적으로는 강대국들 사이의 ..

Philosophy/Oriental 2025.04.19

중국철학 1. 중국철학의 특징과 역사적 맥락, 연구방법론 그리고 지식 체계의 이해

중국철학은 세계 철학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사상 체계다. 서양철학과 달리 존재론적 질문보다는 인간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조화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철학은 방대한 시간적 범위와 다양한 학파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 복잡한 지적 지형을 갖고 있어, 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적인 조망과 연구방법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중국철학의 범위와 시대구분중국철학의 역사는 크게 선진(先秦), 한당(漢唐), 송명(宋明), 청대(淸代), 근현대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시대는 독특한 사회적 배경과 지적 과제를 안고 있었고, 이에 대응하며 철학적 사유가 발전해왔다.선진 시대는 춘추전국 시대를 중심으로 제자백가(諸子百家)가 등장하며 중국철학의 기본 ..

Philosophy/Oriental 2025.04.19

언어철학 25. 현대 언어철학의 쟁점 정리와 미래 전망 - 인공지능 시대의 언어와 의미

언어철학의 여정: 회고와 종합지금까지 우리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언어철학의 다양한 흐름과 주요 사상가들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언어의 본질과 기능, 의미와 지시의 메커니즘, 언어와 사고의 관계, 언어행위의 사회적 차원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했다. 이번 마지막 회차에서는 현대 언어철학의 주요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디지털 미디어와 인공지능 시대에 언어철학이 직면한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을 전망해본다.언어철학의 여정은 결코 단선적이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의 자연주의와 관습주의 논쟁으로부터 시작해, 중세의 보편논쟁, 근대의 언어기원 탐구, 20세기 초의 '언어적 전환(linguistic turn)', 그리고 최근의 인지과학적 접근과 포스트모던적 질문까지, 언어에 대한 철학적 탐구는 끊임없이 새로운 ..

Philosophy 2025.04.18

언어철학 24. 포스트모던·해체주의 관점에서의 언어철학 - 데리다의 차연과 의미의 불안정성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의 분기20세기 철학은 크게 두 갈래로 나뉘어 발전했다. 하나는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이고, 다른 하나는 유럽 대륙, 특히 프랑스와 독일을 중심으로 한 '대륙철학(continental philosophy)'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살펴본 언어철학의 주요 흐름은 주로 분석철학 전통에 속한다. 프레게, 러셀, 비트겐슈타인, 오스틴, 콰인, 크립키 등은 모두 분석적 접근을 취하는 철학자들이었다.그러나 대륙철학 전통에서도 언어에 대한 깊은 성찰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는 언어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 이 두 전통은 오랫동안 서로 단절된 채 발전했지만, 최근에는 양자 간의 대화..

Philosophy 2025.04.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