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정치철학 15. 마르크스와 비판이론

마르크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카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는 19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철학자이자 경제학자, 사회이론가로, 역사의 흐름을 바꾼 사상가이다. 독일 트리어의 중산층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마르크스는 베를린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헤겔 좌파(Young Hegelians)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라인신문의 편집자로 일하며 정치적 활동을 시작했고, 프리드리히 엥겔스(Friedrich Engels)와의 만남을 계기로 본격적인 정치경제학 연구에 몰두했다.마르크스가 활동하던 19세기 유럽은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고 있었다.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의 발전과 함께 공장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조건, 빈부격차의 심화, 도시의 슬럼화 등 여러 사회문제가 대두되..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4. 헤겔의 국가론과 시민사회

헤겔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은 독일 관념론 철학의 정점에 선 인물로, 근대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한 사상가 중 한 명이다. 그는 독일 남부 뷔르템베르크의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나 튀빙겐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예나, 하이델베르크, 베를린 대학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헤겔이 활동하던 시기는 유럽이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의 여파로 큰 변화를 겪던 때였다. 정치적으로는 구체제(Ancien Régime)와 근대 국민국가 사이의 과도기였고, 경제적으로는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던 시기였다. 또한 철학적으로는 칸트의 비판철학 이후 독일 관념론이 발전하던 때였다. 이러한 ..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3. 칸트의 정치철학

칸트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독일 계몽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로, 18세기 유럽 지성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다. 동프로이센의 쾨니히스베르크(현재 러시아의 칼리닌그라드)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곳에서 보낸 칸트는, 철저히 규칙적인 생활을 했다는 일화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한정된 그의 삶과 달리, 그의 사상은 시공간을 넘어 철학의 전 영역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칸트는 독일 계몽주의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프랑스나 영국의 계몽주의가 보다 급진적이고 경험론적 성향을 띠었다면, 독일 계몽주의(Aufklärung)는 라이프니츠와 볼프의 합리론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종교적 관용과 정신적 자율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2. 계몽주의 정치철학 종합

계몽주의의 탄생과 역사적 맥락18세기 유럽에서 꽃핀 계몽주의는 단순한 사상적 운동이 아닌 인류 문명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꾼 거대한 지적 혁명이었다. 중세의 신학적 세계관과 절대왕정의 권위주의적 통치에서 벗어나 이성과 자유, 평등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세계관을 정립하려는 시도였다. 계몽주의라는 이름 자체가 암시하듯, 이 운동은 '무지와 미신의 어둠'에서 '이성의 빛'으로 인류를 이끌어내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계몽주의가 태동한 시기는 유럽이 큰 변화를 겪던 때였다. 과학혁명을 통해 뉴턴, 갈릴레오 등이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틀을 제시했고, 해외 무역과 식민지 개척으로 유럽 사회는 더 넓은 세계와 접촉하게 되었다. 또한 인쇄술의 발달로 지식의 전파가 용이해지면서 공론장(public sphere)이 ..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1. 루소와 일반의지

루소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장 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는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로, 당시 유럽 사회의 불평등과 부패를 날카롭게 비판했던 인물이다. 제네바의 시계공 집안에서 태어난 루소는 어머니를 출산 직후 잃고 방랑 생활을 하며 독학으로 지식을 쌓았다. 그의 불안정한 삶의 경험은 기존 사회체제와 권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루소가 활동하던 시기는 프랑스 혁명 이전의 구체제(Ancien Régime) 말기로, 절대왕정이 여전히 강력했지만 시민계급의 성장과 함께 사회변화의 요구가 고조되던 때였다. 디드로, 볼테르 등 계몽사상가들과 교류하며 루소는 자신만의 독특한 정치철학을 발전시켰는데, 그의 사상은 ..

Philosophy 2025.04.11

정치철학 10. 공화주의와 몽테스키외, 미국 건국 사상

17-18세기에 이르러 근대 정치철학은 홉스와 로크의 사회계약론을 넘어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했다. 특히 샤를 드 몽테스키외(Charles de Montesquieu, 1689-1755)의 분권론과 공화주의적 전통은 근대 입헌주의의 핵심 원리를 확립했고, 이는 후에 미국 건국 사상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번 글에서는 몽테스키외의 정치철학과 공화주의 전통, 그리고 이들이 미국 건국 사상에 어떻게 수용되고 발전했는지 살펴본다.공화주의 전통의 재발견고전적 공화주의의 유산공화주의(Republicanism)는 단순히 군주제에 대비되는 정부 형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공동체의 본질과 시민의 역할에 대한 독특한 이해를 포함하는 정치사상 전통이다. 이 전통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정치사상, 특히 아리스토텔레..

Philosophy 2025.04.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