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아리스토텔레스 5. 자연학(Physics) I: 자연 철학의 특징과 목적론

자연 탐구의 의미와 방법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고대 그리스 자연 철학의 정점이자, 서양 과학사의 중요한 기원을 이룬다. 그가 '자연학(Physics)'이라고 부른 학문 분야는 오늘날 우리가 이해하는 물리학보다 훨씬 넓은 영역을 포괄한다. 이는 운동, 변화, 시간, 공간, 원인, 물질 등 자연 현상 전반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아우르는 포괄적인 학문이었다.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자연(physis)'이란 무엇일까? 그는 『자연학』에서 자연을 "운동과 정지의 원리를 그 자체 안에 가진 것들"이라고 정의한다. 즉, 자연적 존재자는 외부의 힘이 아닌 자신의 내적 원리에 의해 변화하고 발전하는 존재다. 이는 인공물(artifacts)과 대비되는데, 인공물은 그 운동이나 변화의 원리가 외부에서 부여된다.자연 탐구의 방법..

Philosophy 2025.03.27

아리스토텔레스 4. 형이상학 II: 실체와 형상·질료 이론

실체(ousia)의 중심성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핵심에는 '실체(ousia)'라는 개념이 자리한다. 그는 『형이상학』 7권(Z권)의 첫 문장에서 "존재란 여러 의미로 말해지지만, 가장 근본적인 의미는 실체이다"라고 선언함으로써 실체 개념의 중심성을 분명히 했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실체란 가장 근본적인 존재 방식으로, 다른 모든 것의 존재가 의존하는 기초다.실체가 중심적인 이유는 그것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색, 크기, 위치와 같은 속성들은 항상 어떤 실체의 속성으로서만 존재할 수 있지만, 실체는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주어이지만 술어가 될 수 없는 것'이라는 문법적 기준을 통해서도 실체를 정의했다. 예컨대 "소크라테스는 현명하다"라고 말할 수 있지만, "현명함은 소크..

Philosophy 2025.03.27

아리스토텔레스 3. 형이상학 I: 존재론과 네 가지 인과론

형이상학의 탄생과 의미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Metaphysics)'은 서양 철학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저작 중 하나로, 존재와 실재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는 철학의 핵심 분야를 확립했다. 흥미롭게도 '형이상학(metaphysics)'이라는 용어 자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만든 것이 아니다. 이는 후대의 편집자가 그의 저작들을 정리하면서, 자연학(Physics) 뒤에 위치한 책들을 가리켜 '자연학 이후의 것들(Ta meta ta physika)'이라고 명명한 데서 유래했다.그러나 이 우연한 명칭은 해당 저작들의 본질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물리적 현상 너머에 있는 존재의 근본 원리와 구조를 탐구하기 때문이다. 그는 형이상학을 "존재로서의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이라 정의했는데, ..

Philosophy 2025.03.27

아리스토텔레스 2. 논리학(오르가논)과 삼단논법

인류 최초의 체계적 논리학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은 서양 학문 역사상 최초로 체계화된 논리 체계로, 약 2000년 동안 표준적인 논리학 교재로 사용되었다. 놀라운 점은 그 이전에는 체계적인 논리학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물론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대화법을 통해 논리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논증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형식적 기준과 규칙을 명확히 정립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이었다.그의 논리학 저작들은 후대 편집자들에 의해 '오르가논(Organon)'이라는 이름으로 묶였는데, 이는 그리스어로 '도구'를 의미한다. 이 명칭은 논리학이 모든 학문 연구를 위한 기본 도구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을 잘 반영한다. 오르가논은 다음 여섯 개의 저작으로 구성된다:범주론(Categories): 존재의 기본 ..

Philosophy 2025.03.27

아리스토텔레스 1.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위대한 사상가의 탄생과 성장고대 그리스 철학의 황금기를 완성한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 마케도니아의 스타게이라(Stageira)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니코마코스는 마케도니아 왕실의 시의(侍醫)로 활동했으며, 이러한 가정환경은 어린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자연과학에 대한 관심과 실증적 탐구 정신을 심어주는 바탕이 되었다.17세가 되던 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 학문의 중심지였던 아테네로 이주해 플라톤의 아카데미아(Academia)에 입학하게 된다. 이곳에서 그는 스승 플라톤의 가르침 아래 약 20년간 철학을 공부하며 성장했다. 아카데미아 시절, 그는 뛰어난 지성과 학문적 열정으로 "지성의 화신(nous)"이라 불렸으며, 플라톤은 그를 가리켜 "독자(讀者)"라 칭하기도 했다.스승 플라톤과의 사상적 ..

Philosophy 2025.03.27

플라톤 10. 플라톤 철학의 영향사 및 비판적 평가 - 서양 사상사를 관통하는 거대한 흐름

1. 플라톤 사상의 역사적 전개와 수용고대 후기: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적 계승플라톤 철학의 영향력은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부터 시작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의 이데아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자신의 철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플라톤의 이데아가 현실 세계와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원론)을 비판하며, 형상(form)은 개별 사물 속에 내재한다는 내재론을 주장했다.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은 『형이상학』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에 따르면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제3인(third man)' 문제와 같은 논리적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이 비판에도 불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자연관과 본질주의는 플라톤 사상의 영향을 깊이 받은 것이었다."플라톤은 나의 친구지만, 진리는 더 큰 친구이다."이후 헬레니즘 ..

Philosophy 2025.03.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