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5

윤리학 10. 칸트(II) – 정언명령과 보편주의 윤리

서론: 칸트 윤리학의 심화지난 회차에서 칸트 윤리학의 기본 구도와 핵심 개념을 살펴보았다면, 이번 회차에서는 칸트 윤리학의 중심 원리인 정언명령에 대해 더욱 깊이 탐구한다. 정언명령의 다양한 정식들과 그 의미를 분석하고, 칸트가 제시한 도덕적 의무의 본질과 특성을 이해한다. 또한 칸트 윤리학의 보편주의적 성격과 그 함의를 살펴보며, 의무론적 윤리가 현대 윤리 담론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1. 정언명령의 세 가지 정식과 그 의미1.1 정언명령의 첫 번째 정식: 보편법칙의 정식칸트가 제시한 정언명령의 첫 번째이자 가장 기본적인 정식은 '보편법칙의 정식'(Formula of Universal Law)이다:"네 의지의 격률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이 정식은 도덕적 행위의 ..

Ethics 2025.04.09

윤리학 9. 칸트(I) – 의무론적 윤리의 기원

서론: 계몽주의의 정점에서18세기 유럽 계몽주의가 절정에 이르던 시기,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1724-1804)는 인류 지성사에 혁명적인 전환을 가져온 사상가로 자리매김한다. 흄의 회의주의적 경험론과 라이프니츠-볼프 학파의 합리론 사이에서, 칸트는 '비판철학'이라는 독창적 체계를 통해 양자를 종합하고 초월하는 철학적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윤리학 분야에서 그의 기여는 근대 도덕철학의 분수령이 되었다. 이번 회차에서는 칸트 윤리학의 기본 구도와 핵심 개념을 살피며, 의무론적 윤리의 기원을 이해한다.1. 칸트 윤리학의 배경과 문제의식1.1 철학적 배경: 합리론과 경험론 사이에서칸트는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로 이어지는 대륙 합리론과 로크, 흄으로 대표되는 영국 경험론이라는 두 ..

Ethics 2025.04.09

윤리학 8. 데이비드 흄 – 이성·감정·도덕감

이성에서 감정으로: 윤리학의 새로운 전환18세기에 이르러 서양 윤리학은 또 다른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한다. 근대 초기 윤리사상이 신학적 권위에서 벗어나 인간의 이성에 기초한 윤리를 모색했다면, 데이비드 흄(David Hume, 1711-1776)은 이성 중심의 윤리관에 도전하며 감정과 정념의 역할을 재조명했다. 스코틀랜드 계몽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인 흄은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A Treatise of Human Nature, 1739-1740)와 『도덕 원리에 관한 탐구』(An Enquiry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1751) 등을 통해 윤리학에 실험적·경험적 방법을 도입하고, 도덕 판단의 심리적 기초를 분석했다.1. '이성은 정념의 노예다': 흄의 동기 이..

Ethics 2025.04.09

윤리학 7. 근대 초기 윤리사상 – 사회계약과 자연법

중세에서 근대로: 윤리 패러다임의 전환중세의 신학적 윤리관이 지배하던 시대가 저물고,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거치며 서양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맞이했다. 과학혁명, 지리적 발견, 상업의 발달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요구했다. 이런 배경 속에서 등장한 근대 초기 윤리사상은 전통적인 신학적 권위보다 인간의 이성과 자연에 기초한 윤리적 원리를 모색했다. 특히 사회계약론과 자연법 사상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대표적인 윤리적 패러다임이다.1. 그로티우스: 근대 자연법 이론의 기초1.1 세속적 자연법의 정립휴고 그로티우스(Hugo Grotius, 1583-1645)는 근대적 의미의 자연법 이론을 정립한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네덜란드 법학자이자 철학자였던 그는 『전쟁과 평화의 법』(De Jure B..

Ethics 2025.04.09

윤리학 6. 기독교 윤리와 중세 전환

고대에서 중세로: 윤리학의 패러다임 전환그리스 철학의 황금기가 저물고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공인하면서 서양 윤리사상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철학적 사유와 종교적 신앙이 만나는 접점에서, 기독교 윤리는 이전의 그리스-로마 윤리학과는 다른 방향성을 제시했다. 1.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사상1.1 신학적 인간관과 윤리의 토대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354-430)는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과 기독교 교리를 융합하여 중세 기독교 윤리학의 기초를 놓은 인물이다. 그의 윤리사상은 인간을 '타락한 존재'로 보는 기독교적 인간관에서 출발한다.아우구스티누스에게 인간은 원죄(原罪)를 지닌 존재로, 스스로의 힘만으로는 완전한 선을 실현할 수 없다. 이는 인간의 이성과 덕만으로도 행복에 도달할..

Ethics 2025.04.09

윤리학 5. 헬레니즘 윤리학 – 스토아·에픽쿠로스·회의주의

헬레니즘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철학적 특징알렉산더 대왕의 정복과 사회 변화헬레니즘 시대는 일반적으로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기원전 336-323년)부터 로마의 이집트 정복(기원전 30년)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 이 시기는 그리스 문화가 동방 세계로 확산되면서 새로운 문화적 융합이 이루어진 때다.알렉산더 대왕은 그리스, 이집트, 페르시아, 인도 일부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그의 죽음 이후 제국은 여러 장군들에 의해 분할되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이집트), 셀레우코스 왕조(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안티고노스 왕조(마케도니아, 그리스) 등으로 나뉘었다.이 시기의 주요 사회적 변화는 다음과 같다:도시국가(폴리스)의 약화: 그리스의 전통적인 도시국가 체제가 약화되고, 보다 큰 제국과 왕국 중심의 ..

Ethics 2025.04.09
반응형